프로라운지
서울역 곰캠퍼스에서 에스프레소 관련하여 작은 모임을 하고 있는데, 측정기기별 편차를 확인해보고 싶어 간단하게만 진행해 봤습니다.
편차확인을 위해 3가지 방식으로 3가지 기기에 적용하여 측정하였습니다.
A. 브루잉커피 1개 시료를 기기별 3회 측정.
B. 국산 시린지 필터, VST 시린지 필터 사용 측정.
C. 에스프레소 3개의 시료 기기별 각각 1회씩 측정.
측정 방법.
(1) 모든 장비 정제수를 이용한 0점 셋팅.
(2) 모든 커피의 온도를 상온과 맞춤.
(3) 렌즈 먼지제거 (유한킴벌리 킴테크 와이퍼용 작업용 휴지 사용).
(4) 시료의 공기방울 제거.
(5) 모든 커피를 잘 저어준 후 최대한 같은 곳에서 시료 채취.
(6) 측정값은 평균이 아닌, 안정된 수치로 기록.
(7) 시료 0.5ml 사용, 에스프레소 측정은 시료량 약간의 오차가 있음.
1. 브루잉 커피 측정
1차 TDS 측정.
VST 1.18% 기미상궁 1.24% 아타고 1.12%.
VST 기준 : 기미상궁 +0.06%, 아타고 -0.06%
2차 TDS 측정.
VST 1.22% 기미상궁 1.22% 아타고 1.13%.
VST 기준 : 기미상궁 0%, 아타고 -0.09%
3차 TDS 측정.
VST 1.17% 기미상궁 1.16% 아타고 1.14%
VST 기준 : 기미상궁 -0.01%, 아타고 -0.03%
2. 에스프레소 측정
에스프레소 3회 추출 진행, 사용머신 산레모 오페라
T. 91°C (도징 / 시간 / 추출량) - 대략 1:2 추출비율
A : D. 18.5g / t. 22s / Y. 37g.
B : D. 18.5g / t. 28s / Y. 36.9g.
C : D. 18.5g / t. 23s / Y. 39g.
A 시료
(1) 국산 시린지 필터사용
VST : 9.8% / 기미상궁 : 9.88% / 아타고 : 9.73%
VST 기준 : 기미상궁 0.%, 아타고 -0.07%
(2) VST 시린지 필터사용
VST : 9.76% / 기미상궁 : 9.86% / 아타고 : 9.83%
VST 기준 : 기미상궁 +0.10%, 아타고 +0.07%
B 시료
국산 시린지 필터사용
VST : 10.00% / 기미상궁 : 10.09% / 아타고 : 9.93%
VST 기준 : 기미상궁 +0.09%, 아타고 -0.07%
C 시료
국산 시린지 필터사용
VST : 9.53% / 기미상궁 : 9.54% / 아타고 9.45%
VST 기준 : 기미상궁 +0.01%, 아타고 -0.08%
정밀하게 진행된 작업은 아니라 참고용 정도로만 봐주시면 될거 같습니다 :)
그리고 장비를 대여해준 곰캠퍼스 및 다른 분들에게 감사합니다.
(에스프레소 국내 시린지 필터는 현대마이크로 시린지 필터를 사용했습니다.)
ABOUT ME
VST가 비교적 고가의 장비이고 실험을 할때, VST를 많이 사용하므로 기준으로 사용 했습니다.
그럼 다른 중저가용 기기들과 유의미한 편차를 보이냐를 알아보기 위한 간략한 테스트를 한거라, 질문에 대한 정확한 답변은 어렵다운점 죄송합니다. ㅠㅠ
알고 계시겠지만 커피가 균일하게 입자들이 분포해있는 성분은 아니다보니 측정 편차는 어떤기기든 발생 할 수 있는데, 그 시료가 매번 같게하는 변수통제가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정확한 정보는 아니지만 동일한 브루잉 커피를 3번 찍었을때, 아티고가 편차는 가장적게 표시 되었지만, 앞에 설명한 내용 + 다른기기들의 편차도 크다고 볼 수 없기 때문에 어떤 장비가 제일 편차가 적다라고 판단하기에는 힘든거 같습니다.
실험하는 관점에 따라 다르겠지만 경향성을 본다고 생각 할때는 동일한 시료 측정편차를(기계적 문제에 대한) 무시하고 진행해도 괜찮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딴지는 아니고
vst가 버전 2와 버전 3가 차이가 있습니다
사용하신게 2인지 3인지 적어주신다면 다른분들이 참고하시기에 용이할것 같아요
VST 버전 2 이고 같이보면 좋을거 같습니다 :)
정성 어린 실험글 감사드립니다^^ 가성비는 기미 상궁이네요 !
VST가 측정값 편차가 가장 적은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