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컬럼 정보

커피 비즈니스를 위한 코로나19의 이해 (2), 바이러스는 어떻게 공기 중으로 침투하는가?

2020-10-08  


외부 기고자 Specialty Coffee Association
원문출처 https://youtu.be/mbeKRkUMuFA


커피 비즈니스를 위한 코로나19의 이해 (2)

바이러스는 어떻게 공기 중으로 침투하는가?


첫 번째 기사를 먼저 참고하세요

커피 비즈니스를 위한 코로나19의 이해 (1), 공기 전파가 위험한 이유



지난 10월 1일 미국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글로벌 스페셜티 커피 협회(Specialty Coffee Association, 이하 SCA)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후 스페셜티 커피 산업과 관련하여 수집한 여러 조사 프로젝트의 결과를 바탕으로 위 영상을 준비했다. 영상은 US 데이비스 커피 센터의 교수로 일하고 있는  William D. Ristenpart 교수가 진행하며, 커피 비즈니스를 하고 있는 많은 커피인들에게 유용한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공기 중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해 어떻게 안전하게 카페를 운영할 수 있는지에 대한 좋은 지침이다. 블랙워터이슈에서는 위 영상의 Part 1부터 Part4까지 각 4부분을 기사로 다룰 예정이다. 오늘은 "Part 2. 바이러스는 어떻게 공기 중으로 침투하는가?" 이다.



 위의 검색된 구글 이미지들은 흔히 코로나19와 관련하여 많은 매체들에서 사용하는 이미지들일 수 있다. 하지만 위 이미지들은 코로나19에 대한 잘못된 개념을 사람들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 이미지들이 우리에게 잘못된 개념으로 이끌 수 있는 세 가지 이유를 생각해 보자. 



첫 번째 이유는 코로나19의 증상 가운데에는 '재채기(Sneezing)'가 일반적인 증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미지의 마지막 항목 참조) 위 이미지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열과 마른 기침이 일반적인 증상이다. 



두 번째 이유는 무증상인 사람도 다른 사람에게 감염을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위 사례는 중국 교회에서 발생한 사례를 소개한 표이다. 제목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위 사례는 "무증상자도 코로나19를 전파할 수 있다"는 것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위 표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교회 예배가 진행된 19일에 환자 A1과 A2는 아직 증상이 나타나기 전이다.(증상이 나타난 시기가 진한 파란색 셀로 표현되어 있다.) 그들은 다른 사람에게 코로나19를 전파한 후 3-5일까지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흥미로운 점은 A5 환자인데 그는 교회에 A1, A2와 같은 시간대에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같은 자리에 앉았다. 그런데도 그는 감염되었다. 중요한 점은 전혀 증상이 없는 건강한 사람처럼 보이는 사람에게도 우리는 전파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실제로 몇몇 보고서에 의하면 감염된 23%의 사람들은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고, 전파된 86%의 사람들은 증상이 미미하거나 증상이 전혀 없는 사람들에게 전파되었음을 알려준다. 

여기서 질문이 생긴다. "그렇다면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어떻게 공기 중에 침투한 것인가?"이다. 추측해 볼 수 있는 유력한 가정은 단순히 숨쉬기와 말하기를 통해 공기 중에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노출된 것이다. 




위 이미지는 우리가 말할 때, 혹은 숨을 쉴 때, 공기 중에 미세 입자들이 얼마나 나오는지를 측정할 수 있는 APS(Aerodynamic Particle Sizer, 에어로졸 측정 장치라고도 불림)라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없는 에어로졸 즉, '공기 중 미세 입자'까지 측정할 수 있다. 

2019년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실린 아사디 엣 알의 연구 자료. Y축 왼쪽은 초당 얼마나 많은 입자가 배출되는지, 오른쪽은 면적당 입자들의 분포를 알려준다.


APS를 통해 측정한 입자들이 전파되는 상태를 보면 숨시는 상황에서 말하는 상황으로 넘어갈 때, 급격히 미세 입자 배출이 증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파란색 : 큰 소리로 말할 때 / 주황색 : 평소 목소리로 말할 때 / 노란색 : 조용히 말할 때이다. 


또한 위의 그래프에서 우리는 배출되는 입자의 사이즈를 볼 수 있는데, 1 미크론(1/1,000mm) 이하의 사이즈들의 입자들도 있음을 볼 수 있다. 종합해 보면 우리가 흔히 접하는 재채기를 하는 이미지들이 코로나19에 대한 인식을 얼마나 호도하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아래 이미지에서 1미크론의 사이즈가 인간의 머리카락 굵기에 비해 얼마나 작은지를 이해할 수 있다. 




실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크기는 0.1미크론 정도이기 때문에 위 이미지에서 보는 바와 같이 1미크론 사이즈의 미세 입자에 함께 배출될 수 있으며, 입자의 크기를 비교해 보면 실제 0.1 미크론의 바이러스 입자가 1미크론의 미세 입자에 수 천개가 붙어 배출된다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위 자료들은 감염된 사람이 말하고 숨쉬는 것만으로 얼마나 많은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는지를 쉽게 알 수 있다. 


위의 삽화는 우리 몸 밖으로 배출될 수 있는 '공기 중 미세 입자'가 어디로부터 올 수 있는지를 볼 수 있는 도식이다. 우리는 흔히 입에서 배출되는 타액과 같은 것들(대개 30미크론 이상)만을 생각하지만 실상 폐의 미세 기관들에서 나올 수 있는 미세 입자들도 있다는 것이다. 또한 성대가 빠르게 열리고 닫히면서 발생할 수 있는 미세 입자들도 있다. [이처럼 성대가 초당 수십 혹은 수백회 진동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미세 입자들의 배출은 말하거나 노래할 때, 바이러스의 전파 가능성을 얼마나 높이지는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가능성은 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먼지를 통해 전파될 가능성이다. 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크리넥스를 손으로 만지작 거리는 행위가 에어컨 앞에서 이뤄지는 경우 위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초당 엄청난 먼지들이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먼지가 쌓일 수 있는 모든 제품들(마스크, 가운, 베개 수건 등)에서 바이러스가 공기 중으로 재전파될 가능성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카페에 적용해보면, 카페에서의 숨쉬기, 대화, 기침, 노래 부르는 일을 포함하여 카페에서 누군가가 사용했던 휴지나 그 밖의 다른 물건들을 통해서 코로나19는 전파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 영상에서는 카페 내에서 공기 중 전파 가능성을 일으킬 수 있는 요인을 3가지로 나눈다. 

다음 기사에서는 "무엇이 전파 가능성을 조절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할 것이다.



커피 비즈니스를 위한 코로나19의 이해 (1), 공기 전파가 위험한 이유



profile

ABOUT ME

대한민국 커피문화 소통 채널 블랙워터 이슈입니다. 컨텐츠 제보 / 컬럼 기고 / 로스터 정보 등록 / 광고 협의 등 커피 문화에 대한 모든 내용은 bwmgr@bwissue.com 로 문의 부탁드립니다.
블랙워터이슈 에디터

댓글 2

profile

RoasteryCafeIctus

2020-10-09 06:03  #1363770

좋은 공부가 되네요. 감사합니다.

profile

장군이

2020-10-09 17:09  #1364039

카페 안에서도 마스크는 필수입니다.!! 그리고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CoffeeWaving, 초음파 믹싱으로 에스프레소의 쓴맛과 산미...

#CoffeeWaving, 초음파 믹싱으로 에스프레소의 쓴맛과 산미를 줄일 수 있다? 위 영상은 약 11년 전에 초음파 장비를 사용해 에스프레소의 질감과 관련된 개선을 실험한 영상입니다. 이미 Coffee Waving(Vibrating), ...

작성자: Jacobkim

등록일: 2024-06-13

맛있는 에스프레소를 더 쉽게 만들기 위해 디센트가 진화한... 1

스캇 라오가 자신이 관여한 디센트 에스프레소의 신제품 티징 겸 기존의 디센트 머신에서 발전되었던 몇가지 개념을 설명하는 블로그 포스트를 게시했습니다. 분명 재미있게 볼 부분이 있어 번역을 해봤구요. 군데군...

작성자: SPROGEEKS

등록일: 2024-06-03

핸드 그라인더가 대부분 코니컬 버(Conical Burr)를 사용하...

https://youtu.be/ZDH9zBUIw-o?si=oC96NtD6iRX7kAFy 핸드 그라인더가 대부분 코니컬 버(Conical Burr)를 사용하는 이유 feat.David Maurice 최근 홈카페에서 더 나은 커피를 추출하고 싶어하시는 커피 애호가들이 늘...

작성자: Jacobkim

등록일: 2024-05-31

일상 커피의 조건(ft.중국의 저가 커피 브랜드 루이싱 커피... 2

일상 커피의 조건(ft.중국의 저가 커피 브랜드 루이싱 커피의 실패와 성공) by 노띵 커피 원문 : 일상 커피의 조건 〔프롤로그〕 품질이 좋은 커피를 선택할 가장 간단하고 명확한 방법은 '가격'입니다. 고품질의 커...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24-02-21

스페셜티 커피와 다크 로스트 ― 굳이 스페셜티 커피를 다크... 2

스페셜티 커피와 다크 로스트 ― 굳이 스페셜티 커피를 다크 로스팅으로 그럼에도 우리는 커피를 블렌딩하지 않습니다. by 노띵커피 그럼에도 우리는 커피를 블렌딩하지 않습니다.작성자 : 노띵커피이 컨텐츠는 블렌드...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24-01-30

​커피를 분쇄하기 전, 물을 꼭 뿌려야 할까?

커피를 분쇄하기 전, 물을 꼭 뿌려야 할까? 커피를 분쇄하기 전, 물을 뿌려야 하는 이유 ― 크리스토퍼 헨든의 새로운 논문 관련 기사 관련하여 호주의 바리스타 교육 사이트로 유명한 바리스타 허슬에서 관련 포스트...

작성자: Jacobkim

등록일: 2024-01-10

커피 그라인딩(Grind) ― 에스프레소 분쇄 입도 분포에서 쌍...

Grind ― 에스프레소 분쇄 입도 분포에서 쌍봉 이상의 분포(Multimodal)가 필요한 이유 커피 분쇄에서 입도 분포라는 용어는 원두를 분쇄했을 때, 원두 입자의 크기별 분포도를 가리키는 것입니다. 흔히 상업용 에스프...

작성자: Jacobkim

등록일: 2023-12-27

커피 그라인더의 발열 제어가 중요한 이유(The Cold Grind ...

커피 그라인더의 발열 제어가 중요한 이유(The Cold Grind Uprising) The Cold Grind Uprising — Coffee Technicians Guild Undoubtedly, a high degree of obsession is required for engineering better coffee... ...

작성자: Jacobkim

등록일: 2023-12-19

커피를 분쇄하기 전, 물을 뿌려야 하는 이유 ― 크리스토퍼 ... 4

커피를 분쇄하기 전, 물을 뿌려야 하는 이유 ― 크리스토퍼 헨든의 새로운 논문 관련 화학자이자 스페셜티 커피씬에서 "물"과 분쇄 입자 크기의 중요성에 대한 논문으로 지대한 영향을 미쳤던 크리스토퍼 헨든의 새로...

작성자: Jacobkim

등록일: 2023-12-07

보편적 로스팅 이론에 갇히지 않았던 것이 우승 비결, IKRC...

보편적 로스팅 이론에 갇히지 않았던 것이 우승 비결, IKRC 우승자 유종규 인터뷰 올해로 4회차를 맞이한 2023 이카와 코리아 로스팅 챔피언십 (IKRC)에서 우승한 로익스커피 소속의 유종규 로스터를 만나봤습니다. ...

작성자: BLACKWATERISSUE

등록일: 2023-11-28

커피 로스팅 팩토리에서 하이엔드 1그룹 에스프레소 머신이...

커피 로스팅 팩토리에서 하이엔드 1그룹 에스프레소 머신이 필요한 이유 위 영상에서는 호주의 유명 로스터리이자 세계적인 바리스타들을 보유한 오나(Ona) 커피에서 로스팅 품질 관리를 위해 산레모 YOU를 어떻게 활...

작성자: Jacobkim

등록일: 2023-11-27

☕️COFFEE 오늘의 팁: ROASTING☕️ 이후 맛의 진화 by Scott Rao

☕️COFFEE 오늘의 팁: ROASTING☕️ 이후 맛의 진화 스캇 라오의 인스타그램 포스트로 시작된 원두의 향미와 화학적 요인들, 그리고 관능에 대한 대화들입니다. 읽다가 내용이 너무 좋아서 번역해서 공유해드립니다. 많...

작성자: SPROGEEKS

등록일: 2023-11-02

"로스터라면 결국 쓰시게 될 겁니다" 파이어스코... 1

"로스터라면 결국 쓰시게 될 겁니다" 파이어스코프㈜ 강현준 대표 인터뷰 과거 커피 로스팅 소프트웨어가 부재 했을 당시는 도제식 관행에 따라 반복적 숙달로 관능 훈련하는 것이 오직 좋은 로스터가 되어가는 과정...

작성자: BLACKWATERISSUE

등록일: 2023-10-30

7회의 대회도전 그리고 우승, 2023 KBrC 우승자 블랙소울커... 2

7회의 대회도전 그리고 우승 2023 KBrC 우승자 블랙소울커피 김동민 바리스타 인터뷰 2015년 대회를 시작으로 올해까지 브루어스컵 도전 일곱번만에 그가 들어올린 첫 트로피는 우승 트로피였다. 그는 그동안 블랙소...

작성자: BLACKWATERISSUE

등록일: 2023-10-20

과학적인 커피 추출 원리를 한데 모은 커피 덕후의 "...

과학적인 커피 추출 원리를 한데 모은 커피 덕후의 "펄사 드리퍼(Pulsar Dripper)" 천체물리학자이자 세계적 커피 덕후인 조나단 간예(Jonathan Gagne)가 제작에 참여한다는 것만으로도 수많은 관심을 얻어왔던 커피 ...

작성자: SPROGEEKS

등록일: 2023-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