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컬럼 정보

추출 압력에 대한 새로운 트렌드와 그 실제

2020-07-20  



추출 압력에 대한 새로운 트렌드와 그 실제


호주에서 스페셜티 커피 필드에 초점을 맞춘 매거진으로 잘 알려진 빈씬(Beanscene) 매거진에서 Water for Coffee의 저자로도 잘 알려진 크리스토퍼 헨돈 박사의 논문에 대한 이야기가 실렸다. [논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참조] 


에스프레소의 체계적 향상 : 수학적 모델링과 실험을 통한 인사이트 논문 게재 'Systematically Improving Espresso: Insights from Mathematical Modeling and Experiment' 


Coffee Formula(커피 조제법)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는 커피를 추출하는 최근 트렌드와 위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향에 대해 간략한 내용이 실렸다. 요점은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 적은 도징량 그리고 더 굵은 분쇄도가 에스프레소 재현성, 더 빠른 추출 시간, 그리고 년간 수천 달러를 절약할 수 있는 열쇠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위 내용에 대한 수학적 모델링과 실험에 대한 내용은 위 링크에서, 실제 매장에서 행해진 실험과 관련해서는 에스프레소 추출 압력에 대한 새로운 트렌드와 스페셜티 커피 (1), 에스프레소 추출 압력에 대한 새로운 트렌드와 스페셜티 커피 (2) - 추출 압력과 TDS의 상관 관계 기사를 참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흐름이 지속되면서 해외의 다양한 매장들과 유수의 커피 포럼들에서도 이를 주제로한 대화가 오고 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 포럼에서는 "에스프레소 추출 압력에 대한 다음과 같은 질의"가 올라온 적이 있다.


에스프레소 머신의 추출 압력이 추출 속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나는 더 높은 압력이 더 빠른 추출, 더 낮은 압력이 더 느린 추출을 만들 것이라 생각한다. 내가 하고 싶은 질문은 "높은 압력과 더 가늘게 분쇄한 분쇄도를 적용한 추출과 낮은 랍력과 더 굵은 분쇄도를 적용한 추출을 비교할 때, 추출 수율이 어떻게 다를까?"이다.


이 질문에 대해 한 누리꾼(Vibrant Coffee Roasters)은 댓글로 실제 자신의 매장에서 적용한 경험에 대해 이야기한다. "직관적으로 설명하자면, 더 낮은 압력이 같은 분쇄도에서 일반적으로 더 높은 수율을 보이는데, 그 이유는 채널링(Channeling)이 덜 발생하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이에 다른 누리꾼은 "맞다. 우리는 최근 에스프레소 머신의 설정을 기존 화씨 200도에 9바에서 화씨 208도에 7.5바로 조정했다. 실제 같은 분쇄도에서 추출 수율이 극적으로 올라가는 경험을 했다"고 설명한다. 이어서 그는 관능적인 평가에서도 "플레이버의 깊이가 다소 상승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차이를 소비자들이 극적으로 느낄 정도의 차이는 아니라고 밝혔다. 위의 내용 가운데 우리가 추출 압력을 낮게 조정할 수 있는 이유라고 한다면 "낮은 압력에서 채널링이 덜 발생한다"는 주장에서 찾을 수 있다.



수원에 위치한 카페도안의 에스프레소 바 전경



"낮은 압력에서 채널링이 덜 발생한다"

위 주장에 대한 근거로는 에스프레소의 체계적 향상 : 수학적 모델링과 실험을 통한 인사이트 논문 게재 'Systematically Improving Espresso: Insights from Mathematical Modeling and Experiment' 이 기사 본문의 내용 가운데  "실제 추출 입자가 가늘어지면 추출 효율이 증대되지만, 현실에서는 가늘어진 전체 입자들이 추출의 흐름을 불균일하게 만드는 현상이 발행하며 추출이 효율이 떨어지는 부분이 존재한다"고 알려준다. 

이와 관련하여 낮은 압력을 적극적으로 적용한 하트 커피 로스터스의 설립자인 Wille Yli-Luoma의 경우도 6.9바의 압력을 적용하고 있는데, 그의 인터뷰 내용을 살펴보면 노르웨이의 팀 윈들보와 덴마크의 유명 로스터인 커피 콜렉티브에서 많은 도움을 주었다고 한다. 즉, 낮은 압력을 이미 해외의 많은 로스터들이 적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라이트 로스트를 선호하는 북유럽 스타일에 낮은 압력이 적합할 수 있다고 생각해볼 수 있겠다.]


위의 라떼 사진 아래에 표기된 100PSI는 대략 6.9바 정도의 추출 압력이다. 대략 94도의 온도에 6.9바 정도의 압력으로 스테레오 블렌드를 추출한다.


이에 하트 커피를 직접 수입하고 있는 카페도안의 이건민 대표 역시 "팀 윈들보나 맷퍼거 등 이미 하트 이 외의 매장도 9 bar 이하의 압력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아 9bar 는 이탈리아 커피가 전세계를 아우르던 시절의 산물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Wille Yli-Luoma에게 영향을 준 노르딕 커피 특성상 밀도가 단단하고 이산화탄소를 어느 정도 포함하고 있는 구조가 9 bar 추출시 흐름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힘든 면이 있는 것 같다. 또한 9 bar 추출시 산미가 인텐스하고 찌르듯이 나오는 성향이 강하고, 질감이 날카로워 지는데 반해 낮은 압력이 좀 더 부드러운 늬앙스를 표현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을 경험했다고 말했다.


과거 수많은 가설들이 상식처럼 받아들여지던 시절의 이론들은 이제 환경의 변화에 따라 더 이상 상식이 아닌 비상식의 시대가 되고 있다. 물론 커피 추출에 있어서 어떤 것이 옳고 그르다고 선을 그어 나눌 수 없는 것도 사실이다. 그만큼 우리가 통제하지 못하는 변수들이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더 나은 커피를 위해 시도되고 있는 다양한 가설들과 그를 입증하는 실험들이 계속되어 이를 바탕으로 커피가 전세계 대중들에게 더 폭넓은 사랑을 받게 되기를 바란다.



profile

ABOUT ME

대한민국 커피문화 소통 채널 블랙워터 이슈입니다. 컨텐츠 제보 / 컬럼 기고 / 로스터 정보 등록 / 광고 협의 등 커피 문화에 대한 모든 내용은 bwmgr@bwissue.com 로 문의 부탁드립니다.
블랙워터이슈 에디터

댓글 21

profile

RoasteryCafeIctus

2020-07-21 05:17  #1300704

너무나 좋은 자료네요. 감사합니다.

profile

푸르른하늘

2020-07-21 09:15  #1300783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profile

송빠

2020-07-21 11:07  #1300874

저두 압력에 대한 고민을 최근 논문이나 기사들을 보면서 고민하고 있는데, 도움이 되는 좋은 자료 고맙습니다. 잘 보고 갑니다. 수고하세요

profile

커핑스푼

2020-07-21 11:07  #1300878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열공!!

profile

olive731

2020-07-21 11:12  #1300888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3/3

2020-07-21 11:41  #1300909

훗날에는 보급형 머신의 기본압력도 9바가 아닐 날이 올지도 모르겠네요 : )

profile

슈가보이

2020-07-21 20:11  #1301379

귀중한 글 감사합니다.

profile

좋은 글 감사합니다^^

profile

민철

2020-07-22 04:03  #1301707

감사합니다!

profile

좋은 글에 감사드립니다.


profile

Barista_minho

2020-07-22 16:22  #1302231

커피를 공부하면서 매번 틀에 갇히면 안된다고 생각하면서도 이 글을 보니 그동안 또 틀에 갇혀있었다는 생각이 드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로즈콩

2020-07-27 11:00  #1305835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주누

2020-07-27 11:46  #1305874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위 글에서 압력은 펌프의 압력인지 퍽에 실제로 가해지는 압력인지 궁금합니다.

profile

서리

2020-07-27 12:31  #1305906

@주누님

펌프 압력세팅입니다.

profile

주누

2020-07-28 00:27  #1306505

@서리님
감사합니다^^
profile

사보나

2020-07-28 01:24  #1306565

요즘  추출에대한 개인적 관심사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profile

GimSeungHwan

2020-09-22 16:32  #1352919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profile

영배송

2021-02-18 23:30  #1468857

좋은글 감사합니다

profile

미식헌터

2021-05-13 09:05  #1539076

넘 좋은글 이네요 감사합니다.

profile

Relation

2022-09-24 14:02  #1982057

궁금하네…로스팅 스타일도 바뀌어야하는지..

profile

Seohyun

2022-10-03 19:26  #1988084

좋은 글 감사합니다:)

얼음이 우리 손에 오기까지 제1부 - 아이스 커피의 본고장 ... 9

아이스 커피의 본고장 일본의 얼음 사용 흐름 얼음이 우리 손에 오기까지 제1부 [연재전편 리스트]얼음이 우리손에 오기까지 제1부 - 아이스 커피의 본고장 일본의 얼음 사용 흐름얼음이 우리 손에 오기까지 제2부 - ...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20-03-24

제임스의 커피 스터디 3. - 커피 보관환경에 대한 이야기 2부 10

제임스의 커피 스터디 #003 - 커피 보관환경에 대한 이야기 2부 제임스의 커피 스터디 1 - 자외선(UV)을 이용한 커피 생두 품질 감별법 by 빈브라더스 제임스의 커피 스터디 2. 커피 생두도 겨울잠을 잔다 - 커피 보...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20-03-23

끓는 물로 여러분의 커피를 추출하세요 - 커피를 추출하는 ... 15

끓는 물로 여러분의 커피를 추출하세요 - 커피를 추출하는 온도에 대해 세계적인 바리스타이자 로스터인 제임스 호프만이 자신의 유튜브 계정에 브루잉 커피 추출 온도에 대한 의견을 게재했다. 그는 실제 추출시 드...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20-03-17

제임스의 커피 스터디 2. 커피 생두도 겨울잠을 잔다 - 커... 6

커피 생두도 겨울잠을 잔다. / 커피 보관 환경에 대한 이야기 1부 지난 기사 : 제임스의 커피 스터디 1. 자외선(UV)를 이용한 생두 품질 감별법 다시 보기 안녕하세요 제임스입니다. 지난주 [자외선(UV)을 이용한 커...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20-03-16

제임스의 커피 스터디 1 - 자외선(UV)을 이용한 커피 생두... 21

커피 과학 수사대- 자외선(UV)을 이용한 커피 생두 품질 감별법 빈브라더스에서 빈브라더스 파트너십을 가지고 있는 파트너들을 위해 제공되는 '주간 커피 스터디'라는 온라인 교육 컨텐츠를 블랙워터이슈의 독자들과...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20-03-09

커피를 위한 물 (실제 측정과 적용) 13

커피를 위한 물(Water For Coffee) ⓟ 기고 : 대구 브릭커피 바리스타 박현명 (https://instagram.com/dubliners912) 물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한장의 그래프 때문이었습니다. 물에 대한 화학적 이해는 전혀 없었지...

작성자: 외부기고컨텐츠

등록일: 2020-02-12

[바리스타 허슬] 추출 온도의 숨겨진 효과 ― 추출 온도가 ... 15

추출 온도의 숨겨진 효과 ― 추출 온도가 에스프레소의 유속에 미치는 영향 최근 바리스타 허슬에서 Temperature’s Hidden Effect - Brewing temperature affects the flow rate of espresso in unexpected ways, than...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20-02-10

【Brewing】 맛있는 커피를 위한 고민 – 사전적심(Prewetti... 39

맛있는 커피를 위한 고민 – 사전적심(Prewetting) by 노띵커피 이것은 본 추출을 진행하기 전, 커피에 일정량의 물을 주입한 후, 일정 시간 동안 기다리는 행위입니다. 그렇기에 커피가 추출수와 만나게 되는, 매우 ...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20-01-13

【Roasting】 홀빈의 내부를 더 다크하게 로스팅할 수 있을까? 19

홀빈의 내부를 더 다크하게 로스팅할 수 있을까? 싱가포르에 위치한 커피 로스팅 아카데미이자 공유 로스팅 공간을 운영하는 콤파운드 커피에서 자사에서 운영하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흥미로운 설문을 진행했다. 설...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20-01-08

【Roasting】 커피 로스팅 머신을 청소하는 방법과 그 시기... 11

시간당 300파운드를 로스팅할 수 있는 SF-75 모델 커피 로스팅 머신을 청소하는 방법과 그 시기 by San Franciscan Roaster Co 커피 로스팅 머신은 원두 납품 산업 가운데 가장 큰 투자이다. 때문에 유지 관리 및 청...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9-12-24

표백된 종이 필터와 표백되지 않은 종이 필터, 어떤 필터가... 18

표백된 종이 필터와 표백되지 않은 종이 필터, 어떤 필터가 추출 흐름에 더 유용할까 지난 7월 블랙워터이슈 기사를 통해 공개된 바 있는 추출 프로세스에서 린싱은 필요한 과정인가 by nothin Coffee 기사에서는 추...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9-12-23

2020년 커피 트렌드에 대해 Feat. SevenMiles 7

ⓒ www.sevenmiles.com.au 2020년 커피 트렌드에 대해 Feat. SevenMiles 호주의 세븐마일스에서 2020년 커피 트렌드를 전망했다. 그 내용을 간단히 독자들에게 공개한다. 세븐 마일스에서 공개한 내용을 바탕으로 국내...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9-12-18

무게 기반 그라인더 vs 시간 기반 그라인더를 비교할 때 고... 4

무게 기반 그라인더 vs 시간 기반 그라인더를 비교할 때 고려사항들 Feat. SevenMiles 최근 다양한 제조 업체에서 무게 기반 자동 정량 그라인딩 기능을 채택한 그라인더들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바의 동선을 ...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19-12-17

【Brewing】 추출된 커피로, 다시 커피를 추출하는 더블 푸... 4

추출된 커피로, 다시 커피를 추출하는 더블 푸어(Double Pour) Figure 01 더블푸어 위 사진은 드리퍼 쌓기 같은 소소한 장난이나 놀이를 위한 것이 아닙니다. 실제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 준비한 것입니다. 좀 더 정확...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9-10-30

【Brewing】 최고의 추출을 위한 추출 도구의 형태 11

최고의 추출을 위한 추출 도구의 형태 최근 브루잉 관련 서적을 출간한 바 있는 전 월드 바리스타 챔피언 피트 리카타가 자신의 블로그에서 미처 자신이 책에 포함시키지 못한 브루잉 추출의 근간이 되는 중요한 요소...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9-09-16

【Grinder】 다양한 추출 방식에 따른 최적의 그라인더 선...

다양한 추출 방식에 따른 최적의 그라인더 선택 스위스발 유명 그라인더 제조사인 디팅(Ditting)의 공식 수입원인 디팅 코리아에서 2018 월드 브루어스컵 챔피언 에미 후카오리와 2018,2019년 월드 바리스타 챔피언십...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9-08-01

【그라인더】 Etzinger etzMAX, 엔지니어가 작심하고 만든 ... 4

Etzinger etzMAX, 엔지니어가 작심하고 만든 그라인더 엣징거는 그동안 유수의 그라인더 브랜드의 OEM 생산 및 버(Burr) 파츠를 생산해온 기업으로서 그라인더 관련 부품 및 버에 관한 축적된 노하우를 가졌다. 지난 ...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9-07-25

【REVIEW】 가정용 싱글 보일러 에스프레소 머신의 대명사,... 4

가정용 싱글 보일러 에스프레소 머신의 대명사, 가찌아 클래식 프로 리뷰 ▼가찌아 클래식의 역사와 리뷰에 대한 내용은 아래 링크 참조 가찌아 클래식, 잘 다듬어진 기성복 느낌의 에스프레소 머신 - #1 첫인상 홈 에...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9-07-23

【홈카페】 모닝 커피를 더 맛있게 만들어 주는 5가지 팁

모닝 커피를 더 맛있게 만들어 주는 5가지 팁 호주의 유명 로스터리인 파이브센시스 커피에서 홈카페에서 커피를 더 맛있게 만들 수 있는 5가지 팁을 공유했다. 블랙워터이슈에서는 파이브센시스 커피에서 공유한 5가...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9-07-18

【문제 해결】 생두, 로스팅, 추출 과정에서의 문제를 바로... 11

생두, 로스팅, 추출 과정에서의 문제를 바로 잡는 방법 더 나은 커피를 만드는 데 있어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종종 얼마나 많은 요소들이 컵의 품질에 관여되는지 조사 분석하는 것이다. 매번 커피를 맛보는 동안 나...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9-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