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컬럼 정보

추출 수율에 관한 조금 다른 접근

2016-08-14  


IMG_0870.JPG



추출 수율에 관한 조금 다른 접근



안녕하십니까홍찬호 에디터입니다.


지난 주간 커피 추출 수율이 국내외에서 많은 이야기 거리를 만들었습니다. 고수율이 무조건 좋은 것이냐 아니냐로부터 시작하여 수율과 맛의 상관관계 많은 주제로 다양한 토론이 이루어지고 있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조금은 다른 관점에서 추출 수율에 대해서 가지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읽어봄직한 연관글추출 수율 VS 맛 : 여러분들의 솔직한 생각이 궁금합니다.



1. 추출 수율과

많은 분들께서 생각하고 계시듯이, 추출 수율과 중에는 당연히 맛이 우선인 같습니다. 없는 수율의 커피 보다는 있는 수율의 커피가 당연히 좋은 이겠지요. 결국 잔의 커피는 우리가 혹은 고객이 마시는 음료이기 때문에 맛이 없다면 수율 자체는 무의미해지는 같습니다. 따라서 자체를 평가하는 것이 수율에 대한 평가보다 중요하다라고 있겠습니다.



2. 수율과 경제성

호주의 Matt Perger 예전 글에서 언급 했었던 이슈입니다만, 결국 고수율의 커피가 커피 산업 전체에는 긍정적 영향을 준다라는 견해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잔의맛있는커피를 만들기 위해 20g 사용하는 것과 15g 커피를 사용하는 것은 당연히 15g 커피를 사용하는 것이 25% 이득이라고 있습니다.(물론 맛이 비슷하다라는 가정하에


만약 100잔을 판매한다면 전자의 경우는 2kg 사용하게 되고, 후자의 경우는 1.5kg 사용하게 됩니다. 이것이 1,000개의 샵에서 동일하게 행해진다 라고하면 전자는 2톤을, 후자는 1.5톤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지요.

이것은 단순히 커피를 많이 사용하고 말고의 문제도 아니고 잔당 제조원가를 얼마를 남기느냐의 문제 이상입니다. 왜냐하면 커피 산지들에서 매년 재배되는 생두의 양은 정해져 있고(혹은 감소되고 있고), 기후변화나 다른 요인들에 따른 커피의 생산량과 가격변동은 우리 모두 알다시피 예측하기 힘든 변수 입니다. 따라서 산업 전체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라도 최대한 적은양으로 최대의 효과를 내는 효율성을 추구하는게 조금 경제적이고 좋은 커피를 많은 사람들이 손쉽게 즐길 있게 하기위한 방향, 스페셜티 커피 산업이 추구하는 방향과 맞겠지요.


이렇게 범위를 생각하지 않더라도, 당장 매장에서 사용되는 커피의 양을 10% 줄인다고 해도 이를 통한 경제적 이득은 결코 적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커피 매출 1000만원/1 벌기위해 20g 도징하여 60kg 사용하던 것을 10% 줄여서 18g 54kg 사용하게 되면(여기서 커피의 원가는 1kg/35,000으로 계산해 보겠습니다.),

  • 전자는 35,000 x 60kg = 2,100,000
  • 후자는 35,000 x 54kg = 1,890,000 으로 210,000원의 차액이 발생합니다.

이것이 (4) 기준으로 바뀌면 840,000원으로 되고, 1(52) 기준으로 바뀌면 10,920,000원이 됩니다. 적지 않은 금액이지요.


위의 경우를 잔당 제조 원가(인건비, 임대료, 감가상각 등을 제외한)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전자- 700 / 후자- 630
  • 1키로당 만들 있는 커피 수는(loss 0%)
  • 전자- 50 / 후자- 55.56


사실 맛에서 차이 없이 10%정도 줄이는 것은 어려운 것이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번에 바꾸기는 어렵겠지만 점진적으로 줄여나가고, 로스팅이나 다른 시스템적으로 바꾸어나가면 되는 부분이기 때문이지요.

물론 여기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역시 맛이라는 것은 잊지 말아야 것입니다.



읽어봄직한 연관글추출 수율, 추출 농도(TDS), 추출 비율의 정의와 브루잉 컨트롤 차트(추출 관리도)



3. 추출 수율과 QC

그렇다면 대체 수율은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 것인가라는 의문을 가질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이미 그렇게 하고 계시겠지만, 수율은 QC 있어서는 빠질 없는 부분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우선적으로는 맛을 최우선 기준으로 두고 커피를 세팅합니다. 이후, 커피의 품질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서 많은 데이터(brew ratio, temperature, tds%, extraction yield% ) 수집하고 활용하게 됩니다. 수율은 여기서 여러가지를 나타낼 있는데

1) 로스팅이 일관적으로 되었는지 평가

2) 같은 세팅 하에, 바리스타들간의 편차는 어느정도인지 확인

3) 이를 극복하기 위해 어떤 변수를 조절해야 하는지에 대한 가이드

4) 최적의 맛으로 세팅한 값이 유지되고 있는지에 대한 모니터링

등을 수율 측정을 통해서 확인하고 발전 시켜나갈 있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수율은 맛으로 잡은 커피 세팅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모니터링 데이터라고 보는게 가장 알맞을 같습니다.


수율은 결코 맛이 좋고 나쁨을 나타내는 수치는 아닙니다. 하지만 수율을 활용하여 커피의 품질을 유지하고 산업 전체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 우리 모두가 조금씩 기여해야할 책임감은 가져야 같습니다. 그래야 우리 모두가 그리고 우리의 후손들도 맛있는 커피를 즐길 있게 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모두 즐거운 커피하세요! 감사합니다.


홍찬호   QC Specialist, Roaster and Barista, Editor of BWISSUE

photo

Phone: +61 (0) 421 556 679
Email: chanho0623@gmail.com(personal), sightsandthoughts@gmail.com(Black Water Issue/personal blog)
Website: http://chanhohong.wordpress.com
Address: 시드니
Instagram: @chanhohong
Facebook: https://www.facebook.com/chanho.hong.9
Biography: 2015 World Barista Championship NSW(AU) Regional 3rd Place 2015 World Brewers Cup Championship NSW(AU) Regional 4th Place 2015 Australian Golden Bean Award Two Bronze Medals for Single Origin Espresso and Pour Over Filter 2014 Australian Golden Bean Award Silver Medal for Espresso Blend 2014 World Brewers Cup Championship Korean National 3rd Place


ABOUT ME

Chanho Hong
CTO/QC of Normcore Coffee Roasters
Editor of Black Water Issue
Australian Coffee Championships Judge
 
Award for Barista Competitions
2018 Australia Central Regional Brewers Cup Champion
2017 Australian Brewers Cup National 3rd Place
2017 Australia Central Regional Brewers Cup 1st Runner Up
2015 Australia NSW Regional Barista Championship 3rd Place
2014 Korean National Brewers Cup 3rd Place
 
Award for Roasting Competitions
2017 Australian Golden Bean Award Two Silver Medals for Single Origin Espresso and Pour Over Filter
2016 Australian Golden Bean Award Bronze Medal for Single Origin Espresso
2015 Australian Golden Bean Award Two Bronze Medals for Single Origin Espresso and Pour Over Filter
2014 Australian Golden Bean Award Silver Medal for Espresso Blend
 
Competition Coaching/Training
2017 Australian Aeropress Championship 1st Runner Up
2017 Australian Brewers Cup National 4th Place
2015 Australian NSW Regional Barista Champion
 
contact details
email: sightsandthoughts@gmail.com
blog : chanhohong.wordpress.com
bwissue.com
instagram: @chanhohong
인증사업자회원

꿩 먹고 알먹고? No. 커피 먹고 버섯 먹고

꿩 먹고 알먹고? No. 커피 먹고 버섯 먹고 : HIFA 시스템 커피를 마시고 난 찌꺼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관심이 높죠? 지금 보고 계신 이 제품 디자인은 그러한 의견을 잘 반영한 산업 디자인이라 봐도 ...

작성자: 서리

등록일: 2016-08-18

추출 실험 : 세계 브루어스 컵 수상자 차드 왕의 "슈퍼 필...

추출 실험 : 세계 브루어스 컵 수상자 차드 왕의 "슈퍼 필터 린싱:Super-rinse" 방법이 커피 맛에 미치는 영향 ▲ 챠드 왕의 파이널 시연 모습 바리스타 매거진에 재미있는 컬럼이 하나 게재되었습니다. 2016년도 브루...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16-08-18

커피 애호가들을 위한 커피 선택 가이드

커피 애호가들을 위한 커피 선택 가이드 by five senses coffee 최근 보다 양질의 커피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필요가 늘어남에 따라 점차 홈카페에도 자신의 기호에 맞는 커피를 찾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움직임이 눈에...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6-08-17

추출 수율에 관한 조금 다른 접근

추출 수율에 관한 조금 다른 접근 안녕하십니까. 홍찬호 에디터입니다. 지난 한 주간 커피 추출 수율이 국내외에서 많은 이야기 거리를 만들었습니다. 고수율이 무조건 좋은 것이냐 아니냐로부터 시작하여 수율과 맛...

작성자: BW호주외노자에디터

등록일: 2016-08-14

독특한 공간 콜라보레이션. THE JAMES COFFEE CO. SPACE :...

독특한 공간 콜라보레이션. THE JAMES COFFEE CO. SPACE : LITTLE ITALY 분명 카페인데, 카페 공간 빽빽히 다양한 멀티샵들이 들어서 있다면? 커피를 마시러 카페에 가서, 옷을 사고, 안경을 맞추고 자전거를 구입할 ...

작성자: 포럼지기

등록일: 2016-08-10

갓 내린 커피로 민트 모히토 커피를 만들어보자!

Photo Source : http://iamafoodblog.com 갓 내린 커피로 민트 모히토 커피를 만들어보자! 휴가철이 지나고 있음에도 여전히 무더운 여름에 어울리는 멋진 음료 민트맛 모히토 커피. 유명 음식 블로거 "i am a food b...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16-08-08

2016 SCAK 로스팅 세미나 ⒧ ― 유승권 로스터(뉴웨이브 커피...

2016 SCAK 로스팅 세미나 ⒧ ― 유승권 로스터(뉴웨이브 커피로스터스) 지난 7월 30일(토)에 목동의 스페셜티 커피로스터 뉴웨이브 커피에서 진행된 한국스페셜티커피협회 주최의 SCAK 로스팅 세미나 「빅데이터를 활용...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6-08-08

맛있는 커피 한 잔에 문화 한 스푼 (1) Paddlers Coffee, ...

필자 Genre Painter D 에 대하여 시대의 일상을, 소박한 시선으로 화폭에 길어올리고자 노력하는 거리의 화가입니다. 장르로는 삶 한 가운데서 그리고 기록하는 풍속화가/ Genre painter (서양미술에서 Genre Paintin...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16-08-05

2016 BAOK 챔피언십 2차 예선 Top6 시연 리뷰

2016 BAOK 챔피언십 2차 예선 Top6 시연 리뷰 지난 31일(일)에 개최된 한국바리스타협회 주최의 2016 BAOK 챔피언십에서 2차 예선을 통과한 본선 진출자 6명이 결정되었다. 매해를 거듭할 수록 규모와 질적인 성장면...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6-08-05

월드브루어스컵 챔피언십을 위한 물을 만들기 위한 노력

월드브루어스컵 챔피언십을 위한 물을 만들기 위한 노력 오늘 여러분의 커피는 어떻게 추출되었는가? 당신은 당신이 추출시 사용한 물이 어떠한지 아는가? 물의 TDS, pH 그리고 SCAA의 추천 가이드에 따르는 물이 무...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6-08-02

[커피 이론] 맥스웰 코로나 대쉬우드가 말하는 커피 그라인... 1

[커피 이론] 맥스웰 코로나 대쉬우드가 말하는 커피 그라인딩 인사이트(INSIGHT) 제보 : bwmgr@bwissue.com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16-08-02

블랙워터이슈 WATER MAP 프로젝트 : 하계 대한민국 수질(경... 4

블랙워터이슈 WATER MAP 프로젝트 : 하계 대한민국 수질(경도 농도) 지도 비교적 타 국가에 비해 면적이 작은 대한민국이지만, 산지지역과 해양 접경지역 등 지리적 변수가 많은 이유로 지역별 수질의 차이가 적지 않...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16-07-31

대표적인 3대 커피 프로세싱을 애니메이션으로 쉽게 이해하자 1

대표적인 3대 커피 프로세싱을 애니메이션으로 쉽게 이해하자 Fourth Wheel Coffee 에사 커피의 대표적인 프로세싱, 내츄럴, 허니, 워시드 프로세싱을 보다 이해하기 쉬운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했습니다. 평소 프로세...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16-07-28

Rinsing후 Cooling의 효과에 대한 2016 WBrC Top3 대만의 ... 1

Rinsing후 Cooling의 효과에 대한 2016 WBrC Top3 대만의 챠드 왕 인터뷰 어제 블랙워터이슈 공개 커피 포럼에서는 2016 World Brewers Cup Championship(이하 WBrC) 파이널리스트이자 3위로 세계 대회를 마무리지은 ...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6-07-28

시드니 아로마 페스티벌(The Rocks Aroma Festival)

시드니 아로마 페스티벌(The Rocks Aroma Festival) 지난 일요일(24일)에는 호주 시드니 락스(The rocks)에서 10회째를 맞는 아로마 페스티벌(The Rocks Aroma Festival)이 열렸습니다. 시드니의 주요 관광지 중 하나...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16-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