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컬럼 정보

【COFFEE BASICS #2】 커피는 어떻게 로스팅 되는가?

2018-02-19  


원문출처 https://counterculturecoffee.com/blog/coffee-basics-roasting
GreenCoffee_600x400.jpg



 

커피는 어떻게 로스팅 되는가?




미국의 유명 로스터리인 카운터 컬쳐 커피의 Coffee Basics 시리즈 가운데 로스팅과 관련된 내용을 소개한다. Coffee Basics의 시리즈 가운데 블랙워터이슈에서 이미 자세히 소개한 내용을 제외하고, 일반 소비자들에게 커피를 조금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내용을 선별하여 간략히 소개한다. 오늘은 커피가 어떻게 로스팅되는지에 대한 이야기이다. 소비자들이 왜 로스팅에 대해 알아야 할까. 진부한 이야기일지 모르지만 커피는 로스팅에 의해 매혹적인 변화를 겪고, 그 결과물로 사람들이 매력을 느끼기 때문이다. 훌륭한 커피를 판매하는 로스터리의 로스터라면 그 매력에 대해 잘 알 것이라 생각한다.


커피 로스팅이란 무엇인가?
흔히 생두(Green Bean)라고 부르는 푸르스름한 빛깔의 콩은 추출을 위해 열을 가하여 볶는 "로스팅"이라는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을 많은 사람들은 단순히 열을 가하는 단순한 과정이라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실상은 상당히 복잡하다. 커피를 로스팅할 때 로스터는 주의 깊이 열을 가하고, 순간순간 커피의 변화를 자세히 관찰하여 자신이 목표하는 특정 온도 수준과 콩이 익혀진 특정 단계(Development)에 이르기 바란다.

열은 로스팅 과정을 통해 생두 내부의 성분들을 당분화, 카라멜화(갈변화)하여 색상만 카라멜 색상으로 변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에게 친숙한 맛을 만들어 낸다. 기본적으로 로스팅은 다양한 열원을 적용하여 생두에서 화학적 및 물리적 변화를 일으킨다.


세 가지의 기본 유형의 열이 있다[아래의 열원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로스팅] ISSUE #2 열의 전달 기사 참조].

 
a8d380e80bdef0a61de8c4d5ab4bc16d.jpg

 

  • 전도열 - 마치 프라이팬으로부터 얻어지는 열과 같은
  • 대류열 - 마치 드라이어나 팝콘 팝퍼로부터 얻어지는 열과 같은
  • 복사열 - 마치 태양에서 우주 공간을 통해 전달되는 열과 같은

카운터 컬쳐의 로스팅 머신은 다양한 비율로 3가지 열원을 사용하는데 예를 들어 프로밧 로스터기(아래 사진)와 같은 경우 전도열의 비중이 있고, 로링 로스터기의 경우 대류열이 주요 열원이다.



 
CCC_O3_6925.jpg

ⓒ Counterculture Coffee Source



커피는 어떻게 로스팅하는가?
카운터 컬쳐 커피에서의 로스팅은 단순한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 훌륭한 생두
  • 적정량의 열
  • 적절한 시간
위 세 가지를 지키면 훌륭한 커피를 생산할 수 있다.

다양한 로스팅 방식이 있는데 카운터컬쳐 커피의 로스터는 시각, 후각, 온도로 콩이 구워진 정도를 판단하고 있다.

카운터 컬쳐 커피에서의 모든 로스팅 머신은 매뉴얼로 운영되고 있다. 즉, 각 배치를 조작하고 로스팅되는 방식을 결정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이다. 우리의 로스팅 머신은 로스팅 과정에서 얼마나 많은 열이 가해지는지, 커피가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해 상당히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각 기계의 운용이 다양하기 때문에 장비의 정교함에 의존하기보다는 로스터의 경험에 의존한다. 즉, 로스터는 제공되는 정보들을 잘 해석해야 하고 작업 중인 머신에 대해 익숙해야만 한다.


로스팅 정도를 어떻게 구별하는가?
더 라이트한 로스팅의 경우 커피의 고유한 특성 즉, 개성을 더 뚜렷하게 하지만 더 다크한 로스트는 로스팅에서 오는 개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로스터는 커피에 따라 특정 로스팅 정도의 목표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아그트론(Agtron) 혹은 컬러 트랙(Color Track)이라고 부르는 기계에서 빛 반사계를 사용하여 커피의 색감을 통해 모든 배치의 커피 로스팅 정도를 평가한다(모든 로스팅 회사에 적용되는 내용은 아니다).

이 기계는 커피 샘플에 자외선을 센서로 반사시켜 커피의 색상을 분석한 다음 로스팅 정도를 숫자로 출력한다. 숫자가 낮을수록 로스팅 정도가 다크해진다. 예를 들어 가장 다크한 로스트는 아그트론 숫자가 48, 미디엄 로스트가 58-65, 라이트 로스트가 70을 넘는다(카운터 컬쳐 커피에서는 모든 커피의 아그트론 넘버를 제공한다).

 
Screen-Shot-2017-11-01-at-4.54.25-PM.png


스타벅스와 같이 이탈리안 로스트, 블론드 로스트 등 애매한 로스트 레벨을 붙이는 경우도 있지만 카운터 컬쳐와 같이 구체적인 로스트 정도를 아그트론 넘버와 같이 숫자로 제공(위 사진 참조)하여 고객들이 자신의 기호에 맞는 커피를 찾을 수 있도록 돕는다.



 
▼ 관련 기사 보기
커피의 맛에서 「신맛」은 무엇입니까?
커피의 쓴맛은 어떻게 생기는가?⑴
좋은 커피와 맛있는 커피 ― 한국인이 선호하는 커피 맛의 10가지 유형


 
161679.png
제보 : bwmgr@bwissue.com
 
profile

ABOUT ME

대한민국 커피문화 소통 채널 블랙워터 이슈입니다. 컨텐츠 제보 / 컬럼 기고 / 로스터 정보 등록 / 광고 협의 등 커피 문화에 대한 모든 내용은 bwmgr@bwissue.com 로 문의 부탁드립니다.
블랙워터이슈 에디터

댓글 1

profile

LoveLove

2018-02-19 11:59  #390470

좋은 글이네요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소중한 첫 댓글에! 10 포인트 +

【COFFEE BASICS #4】 추출 비율(Brewing Ratios) ― 커피에... 4

추출 비율(Brewing Ratios) ― 커피에 얼마나 많은 물을 사용해야 할까? 커피를 집에서 추출하기 시작하게 되면 부딪히는 가장 큰 과제는 커피와 물의 비율이다. 최상의 추출을 위해 커피와 물의 비율을 어떻게 해야 ...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8-02-21

【COFFEE BASICS #3】 집에서 더 맛있는 커피를 추출하는 3... 3

ⓒ Counter Culture Coffee Source 집에서 더 맛있는 커피를 추출하는 3가지 열쇠 이 내용은 미국의 유명 로스터리 카운터컬쳐 커피의 소매 고객 지원을 담당한 바리스타가 소매 고객들로부터 받은 질문들 가운데 가장...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8-02-20

【COFFEE BASICS #2】 커피는 어떻게 로스팅 되는가? 1

커피는 어떻게 로스팅 되는가? 미국의 유명 로스터리인 카운터 컬쳐 커피의 Coffee Basics 시리즈 가운데 로스팅과 관련된 내용을 소개한다. Coffee Basics의 시리즈 가운데 블랙워터이슈에서 이미 자세히 소개한 내...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8-02-19

【연재】 2018 최저시급 인상과 이에 따른 연봉협상전략(1)... 8

2018 최저시급 인상과 이에 따른 연봉협상전략 들어가며 매장을 운영하는 입장에서 6번째 겪는 새해입니다. 어느 한 해 조용하고 잔잔한 해 없었겠지만 2018년은 유난히 시작부터 떠들썩한 듯합니다. 일반적인 급여의...

작성자: 외부기고컨텐츠

등록일: 2018-02-18

【COFFEE BASICS #1】 프로세싱(Processing) - 무엇이 내추... 3

프로세싱(Processing) - 무엇이 내추럴 커피와 워시드 커피를 다르게 하는가? ― COFFEE BASIC #1 미국의 유명 로스터리인 카운터컬쳐 커피에서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보다 쉬운 커피 이야기를 담은 COFFEE BASIC ...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8-02-14

[제품리뷰] 하리오 V60 Auto Pour Over Smart7 BT 3

[제품리뷰] 하리오 V60 Auto Pour Over Smart7 BT 지난 1월 하리오의 SMART 7 오토 브루어 블루투스(BT)버전이 정식 출시되었습니다. 다양한 추출 변수 조절 기능과 함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조절...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8-02-08

【Recipe】 2016 월드 브루어스컵 챔피언 테츠 카츠야의 4:... 5

2016 월드 브루어스컵 챔피언 테츠 카츠야의 4:6 추출 레시피 영문 버전 공개 2016 월드 브루어스컵 챔피언인 테츠 카츠야의 우승 레시피를 하리오에서 영문 버전으로 공개했다. 이미 블랙워터이슈에서 여러번 기사로...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8-02-08

【MILK】 Alpro, 커피를 위한 아몬드 밀크를 만들기 위한 노력 1

Alpro, 커피를 위한 아몬드 밀크를 만들기 위한 노력 기고 : European Coffee Trip, IRENA MENSIKOVA 몇 년 전 블랙워터이슈 컨텐츠 팀은 세계 커피 업계에서 주목할 만한 한 가지 변화에 주의를 기울였던 적이 있다....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8-02-06

【2017 WBC】 호주 국가대표 바리스타 휴켈리의 World Bari...

호주 국가대표 바리스타 휴 켈리의 World Barista Championship 준비 과정에 대해 서울에서 개최된 월드 바리스타 챔피언십을 향한 나의 여정은 매우 고무적이었고, 즐거움을 주었습니다. 하지만 어려운 경험이었죠. ...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8-02-05

【Review】 이지스터 8kg 조금 더 알아보기 - 풍속(량)계 1

이지스터 8kg 조금 더 알아보기 - 풍속(량)계 한 달 정도 시간이 흐르고, 조금 서툴던 이지스터 8kg가 제법 '내 것'이 된 것 같은 느낌이 들기 시작한 것은 아마 이 포스팅 내용을 담는 순간부터가 아닐까 생각한다. ...

작성자: 외부기고컨텐츠

등록일: 2018-02-05

블록체인 기술로 "커피를 마신다?" 스팀 블록체... 1

블록체인 기술로 "커피를 마신다?" 스팀 블록체인 기술로 실현하는 "Suspended Coffee" 커피 문화 가상화폐에 대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하루에도 수십 %의 급등락을 보이는 암호화 화폐 투기 열풍은 그 기반 기술인 ...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18-02-03

【Interview】 2017 World Coffee Roasting Champion 루벤... 3

2017 World Coffee Roasting Champion 루벤스 가르델리(Rubens Gardelli) 인터뷰 by 啡竇 fei-dou.coffee Q) 블렌드를 위해 사용한 배합 비율을 결정하게 한 요인은 무엇인가? 가장 중요한 요인은 샘플 로스팅의 결과...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8-02-01

유러피언 커피 트립이 추천하는 대표 커피 유튜브 채널 TOP 7 3

유러피언 커피 트립이 추천하는 대표 커피 유튜브 채널 TOP 7 여러분들은 주로 어떤 경로로 커피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으시나요? 유러피언 커피 트립에서는 다양한 유튜브 채널을 통해 다양한 커피 소식과 정보 등...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18-01-31

【Blend】 맛있는 커피를 위한 고민 – 블렌딩(Blending)의 ... 21

맛있는 커피를 위한 고민 – 블렌딩(Blending)의 맹점 “왜 이곳에는 블렌딩이 없나요?” 혹은 “이곳을 대표하는 블렌드 커피는 무엇인가요?” 가끔 듣는 질문이고 이에 대해 저는 이렇게 답합니다. “아직 블렌드 커피가 ...

작성자: 외부기고컨텐츠

등록일: 2018-01-25

[연재칼럼] 정글에서 살아남기 제6화 올바른 도구 선택법 4

|핸드드립으로 싱글오리진 커피를 제공하는 알레그리아 건대CG커피박스 정글에서 살아남기 제6화 올바른 도구 선택법 : 나에게 맞는 장비 고르기 많은 분들이 창업을 준비하면서 고민하는 것이 있습니다. 어쩌면 가장...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8-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