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컬럼 정보

「Water For Coffee」의 공동 저자 크리스토퍼 헨돈 인터뷰 by IBERITAL

2018-04-23  


원문출처 http://thecoffeeuniverse.org/entrevista-...er-hendon/
Captura-de-pantalla-2017-12-27-a-las-12.13.41.png

 




 

「Water For Coffee」의 공동 저자 크리스토퍼 헨돈 인터뷰

by IBERITAL




스페인의 에스프레소 머신 브랜드 이베리탈에서 운영하는 커피 블로그 The Coffee Universe에서 전 영국 국가대표 바리스타인 맥스웰 코로나 대쉬우드와 함께 Water For Coffee의 공동 저자인 크리스토퍼 헨돈을 인터뷰하였다. 이 내용에서 그는 물의 화학적 조성이 커피 한잔의 특성을 어떻게 결정할 수 있는지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였다. 오는 5월 12일에 개최되는 블랙워터크런치의 주제인 『물』과 관련하여 이 인터뷰를 참고한다면 더 알찬 Q&A 시간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Q) 2014년에 추출된 커피 안에 녹아 있는 양이온의 역할에 관한 기사를 발행한 적이 있었다. 후에는 커피를 위한 물로 그 주제가 바뀌었다. 언제 커피에 대한 관심이 시작되었나?
커피에 대한 나의 관심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것처럼 환상적인 커피 한잔이 아니었다. 대신 나의 이야기는 커피에 대한 나쁜 것들을 토론하는 것이 시작이었다. 박사 과정에서 나는 맥스웰 코로나 대쉬우드와 함께 일하기 시작했다. 당시 커피 맛에 대한 물의 화학적 영향은 비교적 알려져 있지 않았다. 이 영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이미 우리가 컵 안에서 맛을 보고 있었던 성분들과 관련하여 수치화하는 일을 도왔다. 그 기사는 화려한 스페셜티 커피의 세계와 실제적인 과학적 관점을 연결시키는 시작점이었다.

Q) 당신은 영국 Bath 대학에서 화학 박사 과정에 있을 때, 멕스웰을 만났다고 했다. 그 만남은 어떠했는가? 커피를 위한 물에 대한 책을 집필할 때, 왜 공동으로 맥스웰과 함께 그 책을 쓰기로 결정했는가?
나는 호주 사람이고, 멜버른 출신이었기 때문에 좋은 커피가 무엇이었는지에 관해 알았다. 대부분의 호주 사람들이 그런 것처럼. 사실 나는 커피에 대해 잘 몰랐다. 맥스웰과 토론을 하지 않았다면 아마도 이 주제에 관해 일하지 않았을 것이다. 맥스웰의 카페는 내가 만났던 첫 스페셜티 커피 전문점이었다. 만약 내가 다른 카페에 가서 라떼를 마셨다면 커피만 마시고 나왔을 것이다. 하지만 맥스웰의 카페에서 그는 라떼가 무엇인지를 가르쳐 주었다. 2년동안 그가 나에게 그러한 지식을 공유했기 때문에 이것에 대해 맥스웰에게 감사한다. 나는 우리가 서로 이야기하면서 많은 것을 배웠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우리는 우리가 나눈 이야기를 적어 놓기로 결정했다. 자연스러운 이야기였지만 그 내용은 중요한 과학적 사실들이었다.

Q) 화학자에게 커피 추출이 무슨 의미가 있는가?
커피 추출은 단순하게 맛이 좋지 않은 화학적 성분들의 범위를 제한하는 과정이며, 맛이 좋은 성분들을 추출해내기 위한 관리 과정이다. 이 과정은 추출 속도가 수온, 커피의 표면적 및 기타 여러 가지 요소들을 통해 결정되기 때문에 까다로운 과정이다. 그래서 흥미롭고, 이러한 과정에서 실험의 성공을 검증하는 방법은 맛을 보는 일과 의사 소통이다.

Q) 몇 년전까지만 해도 커피 추출 과정에서 물의 역할은 간과되었었다. 하지만 당신의 책을 통해 당신은 사람들은 물을 다른 방식으로 생각하게 만들었다. 커피 산업의 빠른 변화를 주목해볼 때, 사람들의 물에 대한 생각이 어떠한지 그리고 현재 물에 담긴 화학적 사실들이 어떻게 고려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사람들과 물을 이야기할 때, 나는 대부분의 독자들이 책의 모든 개념을 이해하지 못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책의 내용이 매우 도전적이기 때문에 예상되는 반응이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책을 통해 물과 관련된 화학에 대해 많은 것을 배웠다. 이 주제를 활용하는 다양한 커피 관련 제품들은 이 점을 입증했다. 우리는 앞으로 물에 대한 지식의 정화와 발전을 계속해서 보게 될 것이다.

Q) 커피를 위한 물을 이해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
실제로 커피에 중요한 물에 대한 개념은 2가지이다. 칼슘, 마그네슘 및 중탄산염 농도이다. 중탄산염은 커피의 풍미를 구조화하는 반면 칼슘과 마그네슘과 같은 이온은 커피의 향미와 바디를 이끌어 내는데 도움이 된다. 두 가지 요소의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가장 직접적인 방법은 「화학 적정법(titration – a chemical method)」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것은 커피를 추출할 물에 시약을 첨가하여 물에 들어 있는 알려지지 않은 성분들을 알아내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 대해서는 「Water for Coffee 저자, Chris Hendon 수질 측정킷 사용 영상 게재」기사 참조.



 
Captura-de-pantalla-2017-12-27-a-las-12.14.02.png



Q) 완벽한 물은 없겠지만 커피 추출하기 위한 물의 가장 이상적인 미네랄 구성은 무엇인가?
가장 좋은 출발점은 Ca2+/Mg2+:HCO3-(칼슘, 마그네슘과 중탄산염의 비율) 비율을 2:1을 목표로 하는 것이다. 이 과정은 실제로 까다롭다. 왜냐하면 물 속의 다른 부정적인 성분들이 염소 이온이 되지 않도록 해야하기 때문이다.

Q) 그와 동시에 커피 머신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훌륭한 풍미를 가진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물을 설계하는 것이 왜 어려운 일인가?
염소[Cl] 와 중탄산염[HCO3-]이 모두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중탄산염은 칼슘과 함께 결정화되어 석회질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기계의 여러 위치에서 관에 침전될 수 있다. 중탄산염은 말할 것도 없다. 따라서 우리는 맛과 머신의 유지 보수 측면의 균형을 잘 잡아야 한다. 이것은 여러운 문제이다.

Q) 일반적으로 로스팅된 커피에 어떤 물이 좋을지를 고려할 때, 커피 산업 전반에서 표준화된 물을 찾으려는 노력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나는 일반적으로 산업 전반에서 표준화된 물을 찾기 위한 노력에 대해서는 가치를 느끼지 못한다. 실제로 사람들이 스스로 가정에서 자신의 물을 만들고 어느 정도 결과물이 예측 가능한 로스팅과 추출 방법을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꼭 표준화된 물을 만들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다양한 변수들을 받아들일 때, 커피가 초콜릿, 견과류, 단맛이 산미보다 더 가치가 있는 커피와 같이 어떤 커피를 더 가치 있게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위에 언급한 특징을 가진 커피는 브라질, 파푸아뉴기니, 수마트라 등의 커피인데 이 커피들은 다른 물의 조성에도 가장 탄력적인 반응을 보이기 때문에 동일한 맛을 내기 쉽고, 따라서 로스터들은 이러한 커피들을 블렌드의 베이스로 많이 사용한다. 하지만 나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업계 사람들은 산미와 다양한 커피의 맛을 좋아하며, 로스터들은 외부에서 항상 이러한 요구에 반응해야 한다. 나는 이것이 문제라기보다 커피의 흥미로운 요소라고 생각한다.




 
Captura-de-pantalla-2017-12-27-a-las-12.13.41.png



Q) 맥스웰이 말한 바에 따르면, 당신은 스페셜티 커피 커뮤니티의 레지던트 과학자가 되는 길에 있다고 말한다. 왜 스페셜티 커피 커뮤니티에는 와인이나 맥주와 같은 다른 식품 산업과 달리 과학적 배경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가?
글쎄. 커피의 경제적 영향을 살펴보면 이 분야는 농업 및 생물 공학에서부터 화학 및 공학 발전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영향을 끼치고 있기 때문에 과학자들이 작업하고 싶어하는 것들이 많다. 실제로 나는 맥주와 포도주의 과학이 당신이 생각하는 것처럼 정교한 과학이라고 확신하지는 않는다.


 
▼ 크리스토퍼 헨돈의 「분쇄된 커피의 산지와 온도에 따른 영향」 논문 관련 기사


 
161679.png
제보 : bwmgr@bwissue.com
 
profile

ABOUT ME

대한민국 커피문화 소통 채널 블랙워터 이슈입니다. 컨텐츠 제보 / 컬럼 기고 / 로스터 정보 등록 / 광고 협의 등 커피 문화에 대한 모든 내용은 bwmgr@bwissue.com 로 문의 부탁드립니다.
블랙워터이슈 에디터

댓글 2

profile

알케미스트

2018-04-23 11:56  #429894

화학자가 이해하는 커피와 물에 대한 이야기 잘보았숩니다.

소중한 첫 댓글에! 10 포인트 +
profile

알케미스트

2018-04-23 11:56  #429904

화학자가 이해하는 커피와 물에 대한 이야기 잘보았숩니다.

【인터뷰】 2014 WCRC 준우승 장문규 로스터(시그니쳐 로스...

2014 WCRC 준우승 장문규 로스터(시그니쳐 로스터스)의 커피를 만나다 블랙워터이슈에서는 최근 스페셜티 커피 로스터들을 한 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블랙워터포트」라는 플랫폼을 선보였다. 그동안 국내에서 만...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8-04-26

【MENU】 수박, 사과 카스카라 소다 - 5senses Coffee의 새... 4

ⓒ Photo Credit by 5senses Coffee 수박, 사과 카스카라 소다 - 5senses Coffee의 새로운 여름 메뉴 커피의 과육을 잘 건조하여 만든 카스카라(Cascara)를 이용한 여름 메뉴를 호주의 유명 로스터리인 5Senses Coffee...

작성자: 김상갑기자

등록일: 2018-04-23

「Water For Coffee」의 공동 저자 크리스토퍼 헨돈 인터뷰... 2

「Water For Coffee」의 공동 저자 크리스토퍼 헨돈 인터뷰 by IBERITAL 스페인의 에스프레소 머신 브랜드 이베리탈에서 운영하는 커피 블로그 The Coffee Universe에서 전 영국 국가대표 바리스타인 맥스웰 코로나 ...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8-04-23

【Brewing】 필터 커피 못지 않은 배치 브루 커피를 만드는...

필터 커피 못지 않은 배치 브루 커피를 만드는 방법 by 5senses coffee 필터로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은 많은 카페들에서 자신이 커피를 보다 진지하게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와 같이 꼭 스페셜티 커피가 아니더라...

작성자: 외부기고컨텐츠

등록일: 2018-04-20

【Cultured Consumers】 국산 커피 로스터 브랜드 이지스터... 1

국산 커피 로스터 브랜드 이지스터에 관한 질문들 2018년 4월의 커피 엑스포가 막을 내렸다. 사람들 입담에 '커피 엑스포는 사람이 없어'라고 우스갯소리로 말하지만, 직접 참가한 1인으로써 그런 말에 공감할 수 없...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8-04-18

【인터뷰】 뉴웨이브 커피로스터스 유승권 로스터의 커피를... 1

뉴웨이브 커피로스터스 유승권 로스터의 커피를 만나다 블랙워터이슈에서는 최근 스페셜티 커피 로스터들을 한 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블랙워터포트」라는 플랫폼을 선보였다. 그동안 국내에서 만나볼 수 없었던 ...

작성자: 외부기고컨텐츠

등록일: 2018-04-13

【연재칼럼】 정글에서 살아남기 ― 제7화 함께 살아남는 법... 4

정글에서 살아남기 제7화 함께 살아남는 법 : 관계에 대한 고민 오랜만의 글입니다.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저의 글을 기다리고 계신다는 이야기를 듣고 어찌나 부끄럽던지요… 앞으로는 좀 더 노력해서 부지런히 연재...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8-04-10

【MENU】 시드니의 바리스타와 쉐프가 함께한 커피와 디저...

시드니의 바리스타와 쉐프가 함께한 커피와 디저트 코스 ‘한국에서의 카페는 좋아하는 사람들과 함께 공간을 소비하는 문화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어라이크라는 공간에서 다양한 것을 손님들과 함께 하고 싶어서 Austr...

작성자: 외부기고컨텐츠

등록일: 2018-04-03

【인터뷰】 칼라스 커피, 2015 월드 커피 로스팅 챔피언십 ... 1

칼라스 커피, 2015 월드 커피 로스팅 챔피언십 3위 최민근 로스터의 커피를 만나다 블랙워터이슈에서는 최근 스페셜티 커피 로스터들을 한 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블랙워터포트」라는 플랫폼을 선보였다. 그동안 ...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8-03-27

【로스팅 크래프트】 9. 로스팅 포인트 15

9. 로스팅 포인트 Coffee Flavor를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선택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로스터들은 concept을 잡고 Roasting Profile을 디자인하지만 사실상 정해진 rule은 없다. Cup에 담겨진 Coffee는 여러 가지 측면에...

작성자: 외부기고컨텐츠

등록일: 2018-03-20

【Cultured Consumers】 로스팅 중 나타나는 Chipping 현상... 4

로스팅 중 나타나는 Chipping 현상에 대해 전 직장에서 로스팅 파트를 담당하고 있을 때, 한 블렌드를 배합하기에 앞서서 나의 관심을 끌고 있었던 특정한 가공 방식의 커피가 있었다. 「펄프드 내추럴 프로세싱」이...

작성자: 외부기고컨텐츠

등록일: 2018-03-16

【Cultured Consumers】 바리스타와 로스터의 상호작용 1

바리스타와 로스터의 상호작용 일전에 네이버 클라우드에 알림이 울렸다. 오랫동안 휴먼 계정이었고 그로 인해 오래된 사진은 소진될 수 있다는 내용이었다. 소중한 추억도 함께 뒤엉켜 있기 때문에 비번을 째내고 짜...

작성자: 외부기고컨텐츠

등록일: 2018-03-13

【Brewing】 프렌치 프레스 커피를 더욱 선명하게 즐기는 ... 3

Pro-Tips: A New Take on French Press | Blue Bottle Achieve unprecedented clarity in fifteen minutes. bluebottleroast 프렌치 프레스 커피를 더욱 선명하게 즐기는 방법 by Bryn Garrehy / Blue Bottle Coffee ...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8-03-09

【COFFEE BASICS #6】 어떻게 커피를 신선하게 유지할 수 ... 1

어떻게 커피를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을까? 이 글을 읽고 있는 독자들 가운데 스페셜티 커피를 처음 접하였든, 이미 즐기고 있든지 커피를 즐기는 소비자라면 아마 커피의 신선도가 맛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고...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8-03-05

【COFFEE BASICS #5】 커피 품종 ― 커피에는 어떤 종류의 ...

커피 품종 ― 커피에는 어떤 종류의 품종들이 있나 스페셜티 커피 산업에서는 항상 "품질"에 대해 이야기한다. 맛의 뉘앙스가 우리에게 커피에서 어떤 맛이 나는지 떠오르게 한다. 어떤 커피가 다른 어떤 커피보다 맛...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8-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