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컬럼 정보

오가닉 로스(Organic Loss), 라이트 로스팅이 TDS를 높게 한다는 이론에 대하여

2017-04-11  



오가닉 로스(Organic Loss)

라이트 로스팅이 TDS를 높게 한다는 이론에 대하여




최근 Espresso의 Extraction을 이해하는데 보편적으로 TDS가 많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Barista들이 다양한 Routine-루틴을 적용하여 보다 능동적인 Extaction을 통해 자신들이 표현하고자하는 Flavor를 적극 선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분위기는 지속적이고 선진적인 전략으로 진보적인 Barista들에게 확대될 것입니다.     

하지만 [Roasting-로스팅과 Brewing-추출의 상관관계]에 대한 견해나 의견은 그렇게 많지 않기 때문에 피로감이 쌓입니다. 따라서 [Roasting-로스팅과 Brewing-추출의 상관관계]가 필드에서 거리를 두고 소외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할지도 모릅니다. 

전 세계적인 토픽-EK43-으로 주목을 받았던 매튜(Matt Perger)가 2014년 한국을 방문했을 때 TDS를 높이기 위해 HTST(High Temperature Short Time Roasting)으로 로스팅 한 사실을 들을 수 있었지만 일정한 패턴을 데이터로서 얻을 수는 없었습니다. HTST가 TDS에 적용되는 경우도 있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았기 때문입니다. 

로스팅에서 보편적으로 발생하는 무게 손실(weight Loss : 12-20%)은 단순히 무게의 변화만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을 2015년 [Loring Roasting-로링 로스팅] 세미나에서 알게 되었습니다. Organic Loss가 수치로 각인이 되었지만 TDS와의 상관관계를 유추하게 된 것은 [Roasting Craft-로스팅 크레프트]를 집필하게 되면서 아이디어를 얻게 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Green Bean-그린빈]의 무게 구성은 70%의 Insoluble-Cellulose와 30%의 Soluble-Organic으로 되어있습니다. [Brewing-추출]은 30%의 Soluble-Organic에서 20%를 Cup에 담아내는 것으로 Soluble-Organic은 로스팅 과정을 통해 일부는 열분해되고 일부는 열연소가 일어납니다. 로스팅의 주요 화학반응인 메일라이드 반응은 열분해 과정이고 카라멜라이제이션은 열연소 과정입니다. 

[DTR-디벨롭 타임 라티오]가 늘어날수록 Organic Loss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Aroma는 증가하지만 Taste는 줄어들게 됩니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DTR-디벨롭 타임 라티오]가 늘어날수록 열연소가 증가하기 때문에 Soluble-Organic의 손실률이 늘어난다는 Routine-루틴을 설계하여 로스팅과 추출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습니다.



0001.jpg
0005.jpg


먼저 그린빈의 무게와 수분 그리고 밀도를 측정합니다.

  • [그린빈의 무게g=A] [그린빈의 무게g-A X 수분%=그린빈 수분의 무게-C]
  • [원두의 무게g=B] [원두의 무게g-B X 수분%=원두 수분의 무게-D]

위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해 보았습니다. 밀도는 로스팅을 할수록 부피가 팽창하기 때문에 수치가 지속적으로 낮아집니다. 



0003.jpg
0004.jpg


위의 그래프에서 [DTR-디벨롭 타임 라티오] 2:30와 5:30를 비교해 보면 5:30의 Organic Loss가 2:30보다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Brewing은 Ratio 0.055를 적용하여 1L/55g의 커피를 사용하였고 EK43으로 그라인딩하여 모카마스터로 추출한 후 MOJO를 사용하여 TDS를 측정하였습니다. 

Organic Loss의 수치가 높은 DTR 5:30의 TDS 수치는 낮게, Organic Loss의 수치가 낮은 DTR 2:30의 TDS 수치는 높게 나옵니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유행하고 있는 노르딕 스타일의 라이트 로스팅을 통해 TDS 수치를 높일 수 있다는 이야기에 무게가 실립니다. 

Roasting과 Brewing의 상관관계에 대한 개연성을 시각화하여 수치적인 데이터로 Rhetoric-레토릭해 보았습니다. 로스팅을 분석하고 체계화하는 것은 보다 선명한 Cup을 고객에게 제공하는 동력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읽어봄직한 연관글 : 커피로스팅, 그린빈 구조에 따른 로스팅 프로파일





유승권   로스터, 뉴웨이브 커피로스터스
photoPhone: 070-4645-5049
Email: xin999@naver.com
Website: http://www.newwavecoffee.co.kr/
Address: 서울 양천구 목1동 405-396 영원빌딩 1층 103호
Vision: 커피로 소통하는 것이 기본 모토로 생산자에게는 노동의 대가와 가치를 보존해주고 소비자에게는 지속적이고 발전적인 새로운 즐거움을 제공하는 것.


profile

ABOUT ME

대한민국 최초 & 최대 온라인 커피 미디어 시장을 연 블랙워터이슈는 2012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스페셜티 커피 시장을 기반으로 국내, 외 업계 전반에 대한 뉴스와 칼럼, 교육 정보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일반회원

댓글 1

profile

일더하기

2017-04-14 07:06  #240720

DTR(디벨롭 타임)과 TDS (추출 수율) 관계가 정비례 관계라고 생각 됬는데 반대의 결과가 나왔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오가닉 로스(Organic Loss), 라이트 로스팅이 TDS를 높게 ... 1

오가닉 로스(Organic Loss) 라이트 로스팅이 TDS를 높게 한다는 이론에 대하여 최근 Espresso의 Extraction을 이해하는데 보편적으로 TDS가 많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Barista들이 다양한 Routine-루틴...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04-11

카페에서 자격증이 필요 없는 이유 24

카페에서 자격증이 필요 없는 이유 "자격증이 필요한가요?" "2급 자격증을 곧 얻게 되는데 미리 지원해도 될까요?" 포비 구인 중에 들었던 몇 가지 문의가 있었다. 이번 뿐 아니라 제법 많은 사람들에게 커피에 대한 ...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03-31

추출에 대한 각기 다른 시선 ― 엔지니어, 바리스타, 로스터 4

추출에 대한 각기 다른 시선 ― 엔지니어, 바리스타, 로스터 커피를 알게 된 이후 온갖 경험과 자료들이 나의 커피를 매개로 한 나의 정체성을 만들어 왔다. 어찌되었든쏟아지는 정보들로 인해 충족되지 않았던 부분을...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03-28

CUPPING POST ( 커핑포스트) La Roccella Mocha Natural - ... 2

※ 본 게시물은 외부 기고 컨텐츠로 관련 내용에 대한 논조나 내용, 방향성은 블랙워터이슈의 편집 방향과 상이할 수 있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해당 글 내용에 대한 오류사항이나 기타 문의 및 전달 사항은 하단의 ...

작성자: 외부기고컨텐츠

등록일: 2017-03-27

COFFEE : The Omni Extraction : Extraction Efficience

COFFEE : The Omni Extraction Extraction Efficience 성분의 추출은 언제 어떠한 상황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커피의 추출은 여타 다른 추출 방식들과 별반 차이가 없는 것이 사실이기도 하며, 역시나 기본적인 물리...

작성자: 서리

등록일: 2017-03-27

커피 로스팅에서의 프릭-Flick (Roasting Defect)- 현상 8

커피 로스팅에서의 프릭-Flick (Roasting Defect)- 현상 “Flick (Roasting Defect)” 빨간색 그래프와 파란색그래프의 배출온도는 같다. 빨간색 그래프는 Development Time Ratio 는 25.6% 파란색 그래프는 Developmen...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03-26

뉴질랜드 브루어스컵(Brewers Cup) 챔피언 이나라 바리스타... 1

New Zealand Brewers Cup 우승자 이나라 바리스타 인터뷰 얼마 전 미국 브루어스컵 지역대회에서 우승을 거머쥔 타미 킴(Tommy Kim, 안단테 커피 로스터스) 바리스타님에 이어 한국시간으로 지난 토요일(18일)에 뉴질...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03-23

[원두리뷰] 벙커 컴퍼니 - BUNKER #8 BITTER SWEET By 빈...

※ 본 게시물은 외부 기고 컨텐츠로 관련 내용에 대한 논조나 내용, 방향성은 블랙워터이슈의 편집 방향과 상이할 수 있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해당 글 내용에 대한 오류사항이나 기타 문의 및 전달 사항은 하단의 ...

작성자: 외부기고컨텐츠

등록일: 2017-03-21

매거진 B" 팟캐스트 "B CAST 인텔리젠시아편"

매거진 B" 팟캐스트 "B CAST 인텔리젠시아편" 패션과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브랜드 전문 매거진 "매거진 B"의 팟캐스트 버전인 B CAST 에 커피 관련 대표적인 브랜드인 "인텔리젠시아" 편이 등록되었습니다. 1,2 부로...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17-03-21

바리스타가 바텐더들로부터 배울 수 있는 특별한 것들 2

바리스타가 바텐더들로부터 배울 수 있는 특별한 것들 카페와 칵테일바 사이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카페는 주로 오전, 오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칵테일 바의 경우에는 주로 저녁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03-21

커피의 수용성 성분, 추출 그리고 TDS에 대한 직관적인 가... 3

커피의 수용성 성분, 추출 그리고 TDS에 대한 직관적인 가이드(5) 부제: 어떻게 커피는 Bean 밖으로 나오게 되는가? 우리는 커피의 수용성 성분, 추출 그리고 TDS에 대한 직관적인 가이드(1) 기사를 통해 커피 나무에...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03-17

카페 창업 가이드 ― 중저 예산으로 생각할 수 있는 에스프... 11

※ 본 게시물은 외부 기고 컨텐츠로 관련 내용에 대한 논조나 내용, 방향성은 블랙워터이슈의 편집 방향과 상이할 수 있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해당 글 내용에 대한 오류사항이나 기타 문의 및 전달 사항은 하단의 ...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03-14

커피의 수용성 성분, 추출 그리고 TDS에 대한 직관적인 가... 3

커피의 수용성 성분, 추출 그리고 TDS에 대한 직관적인 가이드(4) 부제: 어떻게 커피는 Bean 밖으로 나오게 되는가? 우리는 커피의 수용성 성분, 추출 그리고 TDS에 대한 직관적인 가이드(1) 기사를 통해 커피 나무에...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03-13

커피의 수용성 성분, 추출 그리고 TDS에 대한 직관적인 가... 3

커피의 수용성 성분, 추출 그리고 TDS에 대한 직관적인 가이드(3) 부제: 어떻게 커피는 Bean 밖으로 나오게 되는가? 우리는 커피의 수용성 성분, 추출 그리고 TDS에 대한 직관적인 가이드(1) 기사를 통해 커피 나무에...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03-10

커피의 수용성 성분, 추출 그리고 TDS에 대한 직관적인 가... 9

커피의 수용성 성분, 추출 그리고 TDS에 대한 직관적인 가이드(2) 부제: 어떻게 커피는 Bean 밖으로 나오게 되는가? 우리는 커피의 수용성 성분, 추출 그리고 TDS에 대한 직관적인 가이드(1) 기사를 통해 커피 나무에...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