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컬럼 정보

DTR과 TDS의 상관성에 대해

2017-04-13  


외부 기고자 노띵커피(일산)


DTR과 TDS의 상관성에 대해




안정적으로 맛있는 커피를 제공하기 위해 로스팅 관점에서의 DTR과 추출 관점에서의 TDS에 대해 많은 자료가 나오고 있고, 이에 대한 관심 또한 높습니다. 그래서 DTR과 TDS의 상관관계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DTR(Development Time Ratio) : 전체 로스팅 시간 중, 1차 크랙 이후 원두가 배출되는 시간까지의 비율 
예) 1차 크랙 시점 : 8분, 원두 배출 시점 : 10분 → DTR = (10분-8분) / 10분 * 100 = 20%

TDS(Total dissolved Solids) : 총 용존 고형물. 즉, 순수한 물 이외에 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용해성 물질의 총량(Solubles concentration이라 하여 Strength로 표현하기도 함)



일찍이 DTR과 TDS의 상관관계에 대해 통용되었던 한 가지 개념이 있었습니다. 

-강배전(다크 로스팅) 커피의 농도가 진하다

여기에 최근 사용되고 있는 개념을 대비해보겠습니다. 
-라이트 로스팅 커피의 TDS가 높다




이것을 서로 비교 가능한 동일 용어로 바꾸어 표현해보겠습니다.

- 다크 로스팅(DTR이 높아질수록)이 라이트 로스팅 대비 TDS가 높다.
- 라이트 로스팅(DTR이 낮아질수록)이 다크 로스팅 대비 TDS가 높다.

이렇게 바꾸어 보니 두가지 통념이 서로 모순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강배전 커피의농도가 진하다’라는 통념은 과거 강배전 커피 추출시 TDS 혹은 Strength의 개념과는 별개로 비가용성 추출물의 mouthfeel 혹은 body에서 기인한 것이고, ‘라이트 로스팅 커피의 TDS가 높다’라는 것은 ‘Matt Perger(2012년 WBrC 우승자) 신드롬’ 이후 그가 제시했던 *선순환(Upward spiral of Happiness)의 오인에서 기인한 것이라 생각합니다.



upward_spiral_of_happiness.PNG
 


선순환 : 라이트 로스팅 및 수율 측정을 통해 더 쉽게 balanced 커피를 만들 수 있다는 논리.


그래서 이 두가지 통념을 비교해보고, 이를 통해 DTR과 TDS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로스팅시 다른 변수는 최대한 통제하고 DTR의 변화를 달리해 각 DTR에 따른 TDS를 측정해보았고, 그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DTRvsTDS.PNG
 

DTRvsEXT.PNG
 

X축은 10% ~ 30%까지 7단계의 DTR이고 Y축은 TDS 혹은 추출수율(EXT)입니다. 결론적으로 위의 데이터가 보여주듯 ‘DTR과 TDS의 상관성은 없습니다.’ 

그리고 위의 데이터에서 일정 구간의 결과만 활용한다면 아래와 같은 오류를 범할 수도 있다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 다른 구간을 제외한 채 DTR 16.7%, 29.7%의 TDS만을 비교함으로써 라이트 로스팅이 다크 로스팅 대비 TDS가 더 높게 측정된다는 잘못된 결과를 유추.

그리고 이 실험을 진행하면서 많은 자료를 찾아보고 참고하던 중, 이와 비슷한 데이터를 히로세 유키오가 쓴 ‘더 알고 싶은 커피학’ 에서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수율비교.PNG

 
A,B,C는 서로 다른 종류의 커피이고, L은 작을수록 배전도가 높아지는 수치를 나타냅니다.

저희가 진행한 DTR과 TDS의 상관관계에 관한 실험을 마무리하며 이것이 가진 몇가지 한계점을 솔직히 말씀드립니다. 

로스팅시 1차 크랙의 시점을 최대한 비슷한 시간대(8분 +/- 10초)로 가져간 후 Development time의 변화를 주기는 했지만 1차 크랙 전의 ROR(Rise of Rate)은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 최종 TDS측정을 위해 추출시 모든 추출을 완벽히 동일하게 제어하지는 못했을 거라는 점, 그리고 DTR을 더 세분화해서 늘렸다면 특정 X-Y 상관성이 있는 특정차수 함수를 얻을 수도 있었을 거라는 점 등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의 실험은 안정적으로 맛있는 커피를 제공하고, 그리고 커피가 가진 이상적인 맛을 보다 능동적으로 끌어내기 위해 시도되어졌습니다. 

여기에 통용되고 있는 DTR과 TDS의 상관관계에 관한 궁금증 역시 함께 했습니다. 이번 과정을 통해 커피에는 수많은 변수가 작용하고 있다는 점, 그래서 그만큼 데이터 작업이 까다롭고 어려울 수 있으나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 이를 통해 이상적인 커피맛을 찾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읽어봄직한 연관글로스팅 디벨롭먼트와 수율간의 상관관계 및 평가






김현화   , Nothin coffee
photoEmail: coffeesee@naver.com
Website: http://www.nothincoffee.com
Address: 일산, 고양시
Who: 지난 10여년 동안 방송작가로 활동했었고, 현재는 한국에서 Pour over 스페셜티 커피전문점인 ‘노띵커피(NOTHIN COFFEE)’의 스탭으로, 커피를 만들고, 커피가 주는 새로운 경험을 멋진 언어로 전달하는, 그 흥미로운 작업에 빠져 있습니다.


profile

ABOUT ME

대한민국 최초 & 최대 온라인 커피 미디어 시장을 연 블랙워터이슈는 2012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스페셜티 커피 시장을 기반으로 국내, 외 업계 전반에 대한 뉴스와 칼럼, 교육 정보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일반회원

댓글 4

profile

유리디체

2017-04-13 09:07  #240458

상관성이 꽤 높을 줄 알았는데 의외네요....
profile

Nobreaker

2017-04-13 09:17  #240465

관련된 내용에 대해 단순히 DTR이 높아지면 TDS가 높아진다는 통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얼마전 공개된 유승권 로스터의 포스팅을 보고 잘 이해가 되지 않아 궁금해 하던 중
이렇게 시각적으로 이해가 쉬운 설명을 읽고 나니 아주 명쾌해졌습니다.
너무 감사드립니다.
profile

꼴통

2017-04-13 12:23  #240573

아마도 [농도]라는 용어와 [향미의 특성이 강하다/약하다]는 용어를 혼용하여 사용한 결과라 생각합니다...두 용어는 엄연히 다름에도 불구하고요~~
profile

activist_john

2019-03-05 14:23  #615787

이 기사를 통해 지금까지 무비판적으로 수용했던 이론에 대해서 좀더 고민하게 되네요. ^^

현장에서 적용하기 쉽고 간편한 브루잉 팁 1

현장에서 적용하기 쉽고 간편한 브루잉 팁 스페셜티 커피 시장은 최근 몇 년간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해왔습니다. 그리고 특별히 산지마다의 독특한 플레이버를 경험할 수 있는 브루잉 커피의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6-06-17

2015 WCRC 준우승 Joanna Alm의 로스팅 세미나 'Following ...

2015 WCRC 준우승 Joanna Alm의 로스팅 세미나 'Following the Curves' 2015 스웨덴 로스팅 국가대표이자 세계 대회 준우승을 한 조안나 앨름(Joanna Alm)이 Nordic Roasters Forum 2015에서 진행했던 'Following the...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6-06-14

로스팅 프로파일 읽는 방법 by Coffeemind 10

|로스팅 프로파일의 주요 정보를 모두 담고 있는 그림 로스팅 프로파일 읽는 방법 by Coffeemind 로스팅 프로파일은 로스팅이 진행되는 동안 온도 상승 혹은 하강에 대한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대개 커피 생두...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6-06-14

Water for Coffee 저자, Chris Hendon 수질 측정킷 사용 영...

Water for Coffee 저자, Chris Hendon 수질 측정킷 사용 영상 게재 커피를 위한 물에 대한 관심이 뜨거운 가운데, 물과 커피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Ca, Mg, KH 를 측정하는 방법을 Water For Coffee 의...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16-05-24

[Seed to Cup] 5. 커피 가공과 건조

ⓒ coffeeshrub.com 커피 가공과 건조 Seed To Cup #5 The Dry Method 커피를 수확하여 건조하는 방식 가운데 가장 오래된 방식은 커피를 수확하여 건조시키기 위해 널찍한 파티오(넓은 바닥)에 커피 열매 등을 널어 ...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6-05-18

[Seed to Cup] 4. 커피 가공, 허니 프로세스의 태동

ⓒPhoto Credit : cuatromcafes.com 커피 가공, 허니 프로세스의 태동 Seed To Cup #4 2005년에 미국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미국 스페셜티 커피협회(SCAA, Specialty Coffee Association of America)에서는 "차별화된 ...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6-05-08

로스팅 디벨롭먼트와 수율간의 상관관계 및 평가 ― 홍찬호 ... 15

로스팅 디벨롭먼트와 수율간의 상관관계 및 평가 안녕하세요. 호주 외국인 노동자, 블랙워터이슈 에디터 홍찬호 입니다. 지난 주에 멜번 인터내셔널 커피 엑스포에서 열렸던 호주 내셔널 바리스타 챔피언십을 준비하...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6-03-26

피터 줄리아노의 "8단계로 알아보는 커피 테이스터스 플레... 2

피터 줄리아노의 "8단계로 알아보는 커피 테이스터스 플레이버 휠" 사용법 피터 줄리아노(전 카운터컬쳐 생두 바이어)가 자신의 블로그에 SCAA 에서 새롭게 발표한 커피 테이스터스 플레이버 휠의 사용법을 자세히 안...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16-02-06

[Seed to Cup] 3. 커피 가공, 내추럴 및 허니 프로세스 방식 6

Las Lajas Micromill - Costa Rica from Cafe Imports on Vimeo. 커피 가공 Seed to Cup #3 「Natural Process」 작년에 개최된 국내의 다양한 바리스타 대회들에서 가장 자주 언급되었던 커피하면 코스타리카 라스 ...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6-01-27

[라떼아트] 밀크 스티밍(Milk Steaming)과 상황에 맞는 Pou...

밀크 스티밍(Milk Steaming)과 상황에 맞는 Pouring 기술 밀크 스티밍 ― 종회전 카페 라떼나 카푸치노를 만들 때 필요한 것이 밀크 스티밍(Milk Steaming)이다. 스티밍 방법으로서는 우유의 대류 방법에 의해 2가지가...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6-01-21

WCR 의 향미 표현집(Sensory Lexicon)의 특징에 대해 2

WCR 의 향미 표현집(Sensory Lexicon)의 특징에 대해 어제 전 세계의 전문 커피 관련 SNS 타임라인은 새롭게 개선된 커피 테이스터스 플레이버 휠 이야기로 뜨겁게 달아올랐습니다. 동시에 플레이버 휠과 함께 공개되...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16-01-21

에스프레소 추출 컬럼 - EK43 커피버 vs 터키쉬 버 과연 각...

에스프레소 추출 컬럼 - EK43 커피버 vs 터키쉬 버 과연 각각의 특징은? By Pilot Coffee Roasters 말코닉社 의 EK43 이 선풍적인 인기를 얻으면서, EK43 의 유저들은 한번쯤 고민했을 버 스타일의 선택. 바로 커피 ...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16-01-12

플랫 화이트(Flat White)의 역사와 각 지역에서 볼 수 있는... 1

About Flat White 플랫 화이트(Flat White)의 역사와 각 지역에서 볼 수 있는 특징들 플랫화이트. 사실 이 음료의 기원은 호주와 뉴질랜드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호주와 뉴질랜드 모두 시초가 자신들이라고 주장하고 ...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5-12-22

플랫화이트, 피콜로 라떼, 롱마키아토의 차이에 대한 친절...

<스타벅스의 플랫화이트 홍보 영상> 플랫화이트, 피콜로 라떼, 롱마키아토의 차이에 대한 친절한 가이드 최근 스타벅스에서 플랫 화이트(Flat White)란 메뉴를 선보이면서 그간 스페셜티 커피 매장에서만 보이던 메뉴...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5-12-14

밀크 스티밍을 위한 가이드

밀크 스티밍을 위한 가이드 1. 우유도 음식이다. 밀크스티밍에 들어가기에 앞서서 꼭 기억해야 할 점은 한번 스티밍했던 우유는 결코 다시 스티밍할 수 없답니다. 예를 들어 날계란을 가지고 스크램블을 만들었다고 ...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5-12-10

[Seed to Cup] 프롤로그, 커피 심기(Planting)

ⓒ 5senses coffee blog 커피 심기 Seed to Cup Prologue Planting 커피빈(Coffee Bean)은 실제로 씨앗이다. 씨앗을 건조하고, 로스팅하고, 갈아낸 후 커피를 추출하는데 사용된다. 만일 씨앗이 가공되지 않는다면, 그...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5-12-03

[Seed to Cup] 2. 커피 가공, 수세식 가공 방식

ⓒ photo by Victor Biro 커피 가공 Seed to Cup #2 「Wet Process」 '가공'은 인위적인 후처리를 말한다. 어느 분야에서건 원재료를 가공함으로 상품성을 입히는 중요한 과정이며, 소비자의 기호에 따른 조율이 필요...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5-11-23

카페인이 없는 최고의 커피, 디카페인 커피에 대한 4가지 오해

카페인이 없는 최고의 커피, 디카페인 커피에 대한 4가지 오해 디카페인 커피가 인류에게 소개된 이래 꽤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불행하게도 여전히 많은 사람들은 디카페인 커피를 김빠진 사이다처럼 생각한다. 물론 ...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5-11-08

[Seed to Cup] 1. 커피 수확

ⓒ Rwanda, http://www.northcountrypublicradio.org/ 커피 수확 Seed to Cup #1 고품질의 커피를 얻기 위한 노력은 산지에서부터 시작된다. 커피생산자들의 의식적인 계몽과 함께 고품질의 커피를 생산햐기위한 노력...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5-11-05

[기사링크] 커피의 신선도에 대한 5가지 믿을 수 없는 미신... 3

미국 커피 온라인 매거진 스프럿지(http://sprudge.com)에서 커피 원두의 신선도에 대해 재미있는 기사를 하나 포스팅했습니다. 화학 분야의 교수 Chahan Yeretzian 교수가 이야기하는 커피의 신선도에 대한 내용인데...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15-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