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컬럼 정보

【COFFEE BASICS #3】 집에서 더 맛있는 커피를 추출하는 3가지 열쇠

2018-02-20  


원문출처 https://counterculturecoffee.com/blog/3-...ee-at-home
3-Steps-to-Brew-Better-Coffee-at-Home-760x410.jpg

ⓒ Counter Culture Coffee Source



 

집에서 더 맛있는 커피를 추출하는 3가지 열쇠





이 내용은 미국의 유명 로스터리 카운터컬쳐 커피의 소매 고객 지원을 담당한 바리스타가 소매 고객들로부터 받은 질문들 가운데 가장 효과적이 되었던 대답을 정리한 내용이다. 가정에서 커피를 더 잘 추출할 수 있는 세 가지 열쇠는 무엇일까?


1) 고품질의 Burr 그라인더를 구입하라
우선 그라인더를 구입해야 하는 이유는 커피는 분쇄 직후 추출될 때, 가장 맛이 좋기 때문입니다. 또한 그라인더 가운데에서도 고품질의 그라인더(Burr의 질이 중요)가 필요한 이유는 커피가 균일하게 분쇄되도록 하는 그라인더일수록 커피가 최상의 맛을 내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관된 분쇄 입자는 더 일관된 추출이 가능하고 더 균형잡힌 컵을 만들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2) 디지털 스케일을 사용하라
빵을 제조할 때에도 적절한 비율로 재료들을 섞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마찬가지로 커피와 물의 비율을 적절히 유지하여 추출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특히 스쿱이 아닌 분쇄된 커피를 무게로 측정하는 것은 중요하다. 

커피를 추출할 때, 커피와 물의 적절한 비율은 일관된 추출과 재현성을 돕는다. 추출 방식에 따라 물 30g당 1.6-2g의 분쇄된 커피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전 세계의 커피는 서로 다른 밀도와 물리적 크기를 가지고 있다. 커피의 로스팅 프로파일 역시 무게에 영향을 준다. 즉, 어떤 종류의 커피 원두 한 스푼은 5g의 무게를 갖지만 다른 종류의 커피는 8g의 무게를 갖게 될 수 있다. 스쿱에서 같은 양의 커피로 보일지 모르지만 위의 예에서 4스쿱의 커피를 사용한다면 그것은 20g과 32g의 결과를 보이기 때문에 무려 60%나 실제 무게차이가 발생한다. 커피를 디지털 스케일로 계량하는 것은 다양성과 로스팅 레벨에 관계 없이 일관성을 제공하며, 커피를 더 잘 제어할 수 있게 한다.

 
img_read.php?url=%252BHpma3zrZ3akD3JWE%2
기센코리아의 아카이아 오라이온입니다.

 
3) 깨끗한 물을 사용하라
물은 커피 추출의 숨은 영웅이며, 추출된 커피의 98%가 물이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추출시 고려해야할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물에 염소나 다른 화학 물질과 같은 맛이 있다면 그 맛은 우리의 커피에 영향을 미친다. 물의 미네랄 함량이 너무 높거나 낮으면 커피 추출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미네랄 함량이 너무 높으면 추출 장비에 스케일을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INDEX】 커피를 위한 물 기사 참조]

너무 복잡하지 않게 생각한다면 물 맛이 좋고 미네랄 함량이 적당한 물을 선택하라. 집에서 수돗물을 사용하는 경우 브리타 필터와 같은 맛과 냄새를 내기 위해 간단한 카본 필터를 통과시키는 것도 방법이다. 만약 여러분이 커피를 위해 생수를 구입한다면, "마시는 물"이라고 표시된 물보다 오히려 샘물을 제안하고 싶다. 증류수는 미네랄 함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실제 커피를 추출하는데 사용해서는 안되는 물이다.


 
▼ 좋은 커피를 구매하는 방법
 
161679.png
제보 : bwmgr@bwissue.com
 
profile

ABOUT ME

대한민국 커피문화 소통 채널 블랙워터 이슈입니다. 컨텐츠 제보 / 컬럼 기고 / 로스터 정보 등록 / 광고 협의 등 커피 문화에 대한 모든 내용은 bwmgr@bwissue.com 로 문의 부탁드립니다.
블랙워터이슈 에디터

댓글 3

profile

lhspo2004

2018-02-20 11:18  #391151

정성이 빠졌네요ㅎㅎ
물도 정말 중요한것같구요ㅎ

소중한 첫 댓글에! 10 포인트 +
profile

이류

2018-03-04 23:46  #399293

정보 감사함니다. 고가의 드립 스케일을 질러야겠습니다 ㅎㅎ
profile

은수달

2018-04-18 02:54  #426767

생수 중엔 볼빅이랑 삼다수가 비교적 커피랑 잘 어울리더군요.

COFFEE BREWING #3 교반(agitation) 14

▲ 2017 US Brewers Cup Champion 딜런 지멘스(오닉스 커피랩 소속) COFFEE BREWING #3 교반(agitation) 스페셜티 커피가 발전함과 동시에 눈에 띄는 성장을 보이는 분야들 중 하나는 아마 필터커피(브루잉 커피)일 것...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07-10

2017 World Latte Art Champion, Arnon Thitiprasert가 라... 1

2017 World Latte Art Champion Arnon Thitiprasert가 라떼아트 챔피언이 될 수 밖에 없었던 이유 World Coffee Events의 6가지 주요 대회 가운데 라떼아트 대회는 특히 아시아에서 주목받고 있는 대회이다. 마치 유...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07-07

2017 월드커피인굿스피릿 챔피언십의 규정 변화

MARTIN HUDAK / American Bar at The Savoy Hotel / Slovakia 2017 월드커피인굿스피릿 챔피언십의 규정 변화 지난 6월 13일부터 15일까지 헝가리 부다페스트 HUNGEXPO 전시장에서 개최된 World Coffee Events의 4개 ...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06-23

COFFEE BREWING #2 블루밍(뜸들이기) 물의 양과 시간에 따... 11

COFFEE BREWING #2 블루밍(뜸들이기) 물의 양과 시간에 따른 차이 스페셜티 커피가 발전함과 동시에 눈에 띄는 성장을 보이는 분야들 중 하나는 아마 필터커피(브루잉 커피)일 것입니다. 핸드 드립에서부터 최근에 많...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06-21

COFFEE BREWING #1 드리퍼 재질에 따른 차이 8

COFFEE BREWING #1 드리퍼 재질에 따른 차이 스페셜티 커피가 발전함과 동시에 눈에 띄는 성장을 보이는 분야들 중 하나는 아마 필터커피(브루잉 커피)일 것입니다. 핸드 드립에서부터 최근에 많이 사용하는 푸어오버...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06-07

【Extract Everything #4】 에스프레소의 부정적인 맛을 통... 5

에스프레소의 부정적인 맛을 통한 추출 환경 조작 맛의 관능 평가를 통한 다이얼 인(Dial in, 추출 환경을 조작하는 일) 작업을 진행하는 바리스타들에게 조금 도움이 될 만한 크리스 바카의 에스프레소 추출 시리즈 ...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06-05

【바리스타 허슬】 로스트 디벨롭먼트와 컬러 3

로스트 디벨롭먼트와 컬러 호주의 유명 바리스타인 맷 퍼거가 로스팅 디벨롭먼트와 원두의 색상을 비교하여 로스팅을 이야기하는 글을 게재했다. 맷의 주장은 미디엄 로스트를 이상적인 로스팅 색감으로 규정하고, 라...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06-02

【Extract Everything #2】 효율적인 작업 흐름을 위한 밀...

효율적인 작업 흐름을 위한 밀크 스티밍 최근 전자동 밀크 스티밍 머신이 독일, 미국 등지에서 속속 출현하는 모습은 바리스타의 작업 흐름에 있어서 밀크 스티밍은 상당히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하는 작업 가운데 하...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05-26

【Extract Everything #1】 일관된 추출의 이해를 돕기 위... 5

일관된 추출의 이해를 돕기 위한 도식 크리스 바카는 일관된 추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포터필터 바스켓의 단면의 그림을 사용했다. 간단히 말하면 물의 흐름은 저항이 적은 곳으로 집중된다는 기본적인 물리 법칙에 ...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05-25

【Extract Everything #0】 Stockfleth 레벨링 튜토리얼 9

Stockfleth 레벨링 튜토리얼 최근 다양한 바리스타 대회의 유행과 더불어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바리스타들의 다양한 기술들은 점차 다양한 툴들로 대체되는 모습이다. 레벨링(Leveling, 포타필터에 담긴 분쇄된 커피...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05-23

숟가락 두개로 아메리카노를 더욱 맛있게 만들어보자. By J... 5

숟가락 두개로 아메리카노를 더욱 맛있게 만들어보자. By James Hoffman 숟가락 두개로 아메리카노를 더 맛있게 만들 수 있다? 과연 사실일까요? 영국 스퀘어마일의 제임스 호프만은 "COFFEE HACK : BETTER AMERICANO...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17-05-23

좋은 커피를 추출하는데 꼭 필요한 요소들

좋은 커피를 추출하는데 꼭 필요한 요소들 세계적인 바리스타이자 로스터인 팀 윈들보가 제안하는 좋은 커피를 추출하는데 꼭 필요한 요소들을 블랙워터이슈의 기사를 통해 이미 많은 분들이 접하셨으리라 생각이 됩...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05-15

The Coffee Brewing Handbook 에 대한 고찰 및 보완 10

The Coffee Brewing Handbook 에 대한 고찰 및 보완 1. 들어가기에 앞서 『The Coffee Brewing Handbook』은 1950년대 The Coffee Brewing Center의 Scientific Director 였던 Dr. Ernest Lockhart의 연구 결과를 비...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05-02

나의 Developed Time 다양성과 이해 방식 2

나의 Developed Time 다양성과 이해 방식 처음부터 열풍식 비율이 높은 로스터를 다루진 않았다. 프로밧 L시리즈가 시작이었다. 커피 시장이 발전함에 따라, 현상들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한 필요도 함께 요구되었고...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04-25

커핑(Cupping), 주관적인 가이드 라인 3

커핑(Cupping), 주관적인 가이드 라인 커핑을 처음 했던 때는 빨간색 옛 프로밧이 반듯하게 서 있는 어떤 넓은 공간에서였다. 너무나도 추운 날이었고 그 누나는 주섬주섬 커핑 컵과 스푼, 원두를 준비했다. 한 쪽에...

작성자: 외부기고컨텐츠

등록일: 2017-04-18

DTR과 TDS의 상관성에 대해 4

DTR과 TDS의 상관성에 대해 안정적으로 맛있는 커피를 제공하기 위해 로스팅 관점에서의 DTR과 추출 관점에서의 TDS에 대해 많은 자료가 나오고 있고, 이에 대한 관심 또한 높습니다. 그래서 DTR과 TDS의 상관관계에 ...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04-13

낮은 투입 온도에 대한 개인적인 소고 2

낮은 투입 온도에 대한 개인적인 소고 로스팅을 하면서 계속 유지해 온 습관 하나는 낮은 온도에서 생두를 투입하는 것이다. 물론 낮은 투입 온도를 지향해서 얻을 수 있는 결과물이 모든 로스터기와 로스터 방식에 ...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04-13

오가닉 로스(Organic Loss), 라이트 로스팅이 TDS를 높게 ... 1

오가닉 로스(Organic Loss) 라이트 로스팅이 TDS를 높게 한다는 이론에 대하여 최근 Espresso의 Extraction을 이해하는데 보편적으로 TDS가 많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Barista들이 다양한 Routine-루틴...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04-11

커피 로스팅에서의 프릭-Flick (Roasting Defect)- 현상 8

커피 로스팅에서의 프릭-Flick (Roasting Defect)- 현상 “Flick (Roasting Defect)” 빨간색 그래프와 파란색그래프의 배출온도는 같다. 빨간색 그래프는 Development Time Ratio 는 25.6% 파란색 그래프는 Developmen...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03-26

커피의 수용성 성분, 추출 그리고 TDS에 대한 직관적인 가... 3

커피의 수용성 성분, 추출 그리고 TDS에 대한 직관적인 가이드(5) 부제: 어떻게 커피는 Bean 밖으로 나오게 되는가? 우리는 커피의 수용성 성분, 추출 그리고 TDS에 대한 직관적인 가이드(1) 기사를 통해 커피 나무에...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