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컬럼 정보

【Roasting】 RDR(Roasting Development Ratio)이 추출에 미치는 영향

2018-08-14  


 

RDR(Roasting Development Ratio)이 추출에 미치는 영향 





로스팅시 꼭 포함되어야 할 데이터 가운데 하나는 RDR(Roasting Development Ratio), 우리가 흔히 DTR(Development Time Ratio)이라 부르는 데이터일 것이다. 이는 전체 로스팅 시간 가운데 1차 크랙 이후부터 배출까지의 시간을 가리킨다. 세계적인 커피 교육자인 스캇 라오의 경우 이 시간과 관련하여 자신의 책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한 적이 있다.

 
"20년동안 25,000개가 넘는 로스팅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가장 좋은 로스팅 프로파일을 발견했는데, 모든 경우 1차 크랙은 총 로스팅 시간의 75-80% 사이에서 시작되었으며, 디벨롭먼트 시간은 언제나 총 로스팅 시간의 20-25% 사이였다."



 
IMG_2856.jpg

 


흔히 로스터들이 좋은 로스팅 프로파일이라 부를만한 패턴은 결국 관능 평가에 있어 좋은 평가를 받는 패턴일 것이다. 위의 내용을 종합해보면 디벨롭먼트 시간을 가리키는 지수인 RDR 혹은 DTR이 20-25% 사이일 경우 커피의 수용성 성분은 물에 잘 녹으며, 수율이 좋아진다는 이야기가 될 수 있다. (이는 물론 단지 로스팅뿐 아니라 물의 상태와도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료는 아래의 링크 참조)

 
 
 
ⓒ Photo Credit by Park Da In, 오슬로에 위치한 팀 윈들보 매장   우리가 커피를 위한 물에 관심을 갖게 된...
ⓒ BlackWaterIssue / 2018-05-02


따라서 바리스타 대회를 준비하는 많은 선수들의 경우 RDR(혹은 DTR) 자료를 추출 레시피를 잡을 때, 반드시 고려한다. 국내에서 여러번 세미나를 진행한 홍콩의 카포 치우 역시도 추출 레시피를 정할 때, 로스팅 디벨롭먼트 비율을 고려한다고 한다.  그 이유는 로스팅 디벨롭먼트 시간에 따라 추출 수율에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 20-22% DTR : 높은 수율과 훌륭한 바디감
  • 18-20% DTR : 바디감이 조금 떨어진다
  • 18% 미만 DTR : 커피의 수용성 성분이 물에 잘 녹지 않고, 바디감이 좋지 않으며, 추출이 어렵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대회를 준비하는 선수는 비단 카포 치우 뿐만이 아니다. 아래의 『관련 기사 : 로스팅 디벨롭먼트와 수율간의 상관 관계 및 평가』에 보면 홍찬호 선수 역시 내셔널 바리스타 챔피언십 대회를 위해 실제 DTR뿐 아니라 ROR(Rate of Rise)의 수치 변화에 따른 수율 변화를 계산하며, 최적의 레시피를 찾기 위해 노력한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이제 곧 내년 월드 커피 이벤트를 위한 다양한 대회가 치러질 예정이다. 이제 많은 선수들이 대회를 준비하는데 있어 커피의 선택부터 로스팅, 추출에 이르는 다양한 과정에서 블랙워터이슈의 기사들이 도움이 되길 바란다.


 
▼ 관련 기사 보기
로스팅 디벨롭먼트와 수율간의 상관관계 및 평가 안녕하세요. 호주 외국인 노동자, 블랙워터이슈 에디터 홍...
ⓒ BlackWaterIssue / 2016-03-26

 
 
제보 : bwmgr@bwissue.com
 
profile

ABOUT ME

대한민국 최초 & 최대 온라인 커피 미디어 시장을 연 블랙워터이슈는 2012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스페셜티 커피 시장을 기반으로 국내, 외 업계 전반에 대한 뉴스와 칼럼, 교육 정보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일반회원

댓글 1

profile

알케미스트

2018-08-14 17:13  #493575

원하는 결과물에 비례해서 추출과 로스팅정도를 가늠해야 하겠네요~

소중한 첫 댓글에! 10 포인트 +

【Tip】 질소 세척 추출(NITROGEN FLUSHED EXTRACTION), 더... 1

질소 세척 추출을 위해 분쇄된 원두를 질소 휘핑기에 담고 있는 전 스위스 국가대표 바리스타 ANDRÉ EIERMANN 질소 세척 추출(NITROGEN FLUSHED EXTRACTION) 더 높은 수율을 얻는 방법 에스프레소 추출시 대개 갓 볶...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8-05-31

【Brewing】 브루잉 커피에서 바이패스(Bypass)가 폄하되었... 3

브루잉 커피에서 바이패스(Bypass)가 폄하되었던 이유 Bypass는 말 그대로 우회하다라는 의미이다. 블랙워터이슈에서는 이미 브루잉 커피의 범주에서 Bypass라는 용어의 어원에 대해 이야기했다. 바이패스(Bypass), ...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8-05-30

【Issue】 우리가 커피를 위한 물에 관심을 갖게 된 배경의... 2

우리가 커피를 위한 물에 관심을 갖게 된 배경의 이해⑶ ― 주요 경도 성분들이 커피의 맛에 미치는 영향 우리가 커피를 위한 물에 관심을 갖게 된 배경의 이해⑴ ― 캐나다와 노르웨이의 물 우리가 커피를 위한 물에 관...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8-05-30

【Espresso】 유량을 제어하는 리스트릭터(Restrictor)는 ... 4

18:25 Sydney time...This weekend's experiment! Joe & Jeremy(@socraticcoffee)님의 공유 게시물님, 2018 5월 22 1:25오전 PDT 유량을 제어하는 리스트릭터(Restrictor, 지글러)는 왜 효과적일까? 흔히 우리는 물의...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8-05-24

【Issue】 우리가 커피를 위한 물에 관심을 갖게 된 배경의... 1

ⓒ Photo Credit by Park Da In, 오슬로에 위치한 팀 윈들보 매장 우리가 커피를 위한 물에 관심을 갖게 된 배경의 이해⑴ ― 캐나다와 노르웨이의 물 아마 이 글을 처음 접하시는 커피 애호가라면 커피를 위한 물이라는...

작성자: 김상갑기자

등록일: 2018-05-02

【Brewing】 필터 커피 못지 않은 배치 브루 커피를 만드는...

필터 커피 못지 않은 배치 브루 커피를 만드는 방법 by 5senses coffee 필터로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은 많은 카페들에서 자신이 커피를 보다 진지하게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와 같이 꼭 스페셜티 커피가 아니더라...

작성자: 외부기고컨텐츠

등록일: 2018-04-20

【로스팅 크래프트】 9. 로스팅 포인트 15

9. 로스팅 포인트 Coffee Flavor를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선택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로스터들은 concept을 잡고 Roasting Profile을 디자인하지만 사실상 정해진 rule은 없다. Cup에 담겨진 Coffee는 여러 가지 측면에...

작성자: 외부기고컨텐츠

등록일: 2018-03-20

【COFFEE BASICS #6】 어떻게 커피를 신선하게 유지할 수 ... 1

어떻게 커피를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을까? 이 글을 읽고 있는 독자들 가운데 스페셜티 커피를 처음 접하였든, 이미 즐기고 있든지 커피를 즐기는 소비자라면 아마 커피의 신선도가 맛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고...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8-03-05

【COFFEE BASICS #5】 커피 품종 ― 커피에는 어떤 종류의 ...

커피 품종 ― 커피에는 어떤 종류의 품종들이 있나 스페셜티 커피 산업에서는 항상 "품질"에 대해 이야기한다. 맛의 뉘앙스가 우리에게 커피에서 어떤 맛이 나는지 떠오르게 한다. 어떤 커피가 다른 어떤 커피보다 맛...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8-03-02

【COFFEE BASICS #4】 추출 비율(Brewing Ratios) ― 커피에... 4

추출 비율(Brewing Ratios) ― 커피에 얼마나 많은 물을 사용해야 할까? 커피를 집에서 추출하기 시작하게 되면 부딪히는 가장 큰 과제는 커피와 물의 비율이다. 최상의 추출을 위해 커피와 물의 비율을 어떻게 해야 ...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8-02-21

【COFFEE BASICS #3】 집에서 더 맛있는 커피를 추출하는 3... 3

ⓒ Counter Culture Coffee Source 집에서 더 맛있는 커피를 추출하는 3가지 열쇠 이 내용은 미국의 유명 로스터리 카운터컬쳐 커피의 소매 고객 지원을 담당한 바리스타가 소매 고객들로부터 받은 질문들 가운데 가장...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8-02-20

【COFFEE BASICS #2】 커피는 어떻게 로스팅 되는가? 1

커피는 어떻게 로스팅 되는가? 미국의 유명 로스터리인 카운터 컬쳐 커피의 Coffee Basics 시리즈 가운데 로스팅과 관련된 내용을 소개한다. Coffee Basics의 시리즈 가운데 블랙워터이슈에서 이미 자세히 소개한 내...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8-02-19

【Blend】 맛있는 커피를 위한 고민 – 블렌딩(Blending)의 ... 21

맛있는 커피를 위한 고민 – 블렌딩(Blending)의 맹점 “왜 이곳에는 블렌딩이 없나요?” 혹은 “이곳을 대표하는 블렌드 커피는 무엇인가요?” 가끔 듣는 질문이고 이에 대해 저는 이렇게 답합니다. “아직 블렌드 커피가 ...

작성자: 외부기고컨텐츠

등록일: 2018-01-25

크림이 커피에 닿는 순간에 숨어 있는 과학 1

크림이 커피에 닿는 순간에 숨어 있는 과학 우리는 커피에 크림을 넣어 마시는 문화가 발달하지는 않았지만, 이것이 보편화된 서구권에서는 커피에 크림을 넣는 순간 크림이 커피 표면에 일정시간 둥둥 떠 다니는 현...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17-11-30

【Roasting】 잘 디벨롭된 라이트 로스팅의 유용성에 대한 ... 9

잘 디벨롭된 라이트 로스팅의 유용성에 대한 실험과 평가 호주 내 라이트 로스팅의 배경 호주는 전통적으로 밀크 커피가 강세인 나라 중 한 곳입니다. 플랫 화이트(flat white)로 대표될 수 있는 호주의 밀크 커피 메...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11-27

【Roasting】 로스팅 전 핸드픽이 필요한 생두에 대한 고찰 1

로스팅 전 핸드픽이 필요한 생두에 대한 고찰 몇 년 전, 로스팅에 관련된 정보를 찾아보면서 지금 포스팅에 담을 내용을 접하게 되었고 이후 많은 정보와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내용의 큰 틀은 복잡하지 않다. 생두...

작성자: 외부기고컨텐츠

등록일: 2017-11-23

53(54)mm vs 58mm 포터필터, 바스켓 사이즈의 차이와 논의 6

53(54)mm vs 58mm 포터필터, 바스켓 사이즈의 차이와 논의 현재는 대부분 58mm 의 포터필터 사이즈가 표준화에 가깝게 통일이 되었지만, 아직도 53~54mm 사이즈의 포터필터 바스켓 규격으로 에스프레소 머신을 생산하...

작성자: 서리

등록일: 2017-11-06

디개싱(Degassing)에 대한 이해, 신선한 것이 최선인가? 26

일방향 아로마 밸브에 대한 도식, ⓒjet-ap.com 디개싱(Degassing)에 대한 이해, 신선한 것이 최선인가? 커피를 로스팅하는 로스터들에게 있어서 신선한 커피가 최선의 커피가 아니라는 것은 사실이다. 최근 국내 바리...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10-26

【Day 1 of 30】 1. 좋은 에스프레소 그라인더란? 1

1. 좋은 에스프레소 그라인더란? by Pete Licata(2013 WBC Champion) 2013년 월드 바리스타 챔피언인 피트 리카타의 개인 블로그에 시리즈로 연재되고 있는 포스트의 내용을 블랙워터이슈에서는 발전적인 방향으로 연...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10-12

【Roasting】 Flick 현상과 Crash 현상을 피하는 방법 1

Flick 현상과 Crash 현상을 피하는 방법 블랙워터이슈의 지난 3월 26일자 기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뤘다. 아래의 링크 참조할 수 있다. 아래의 기사에서 2014년 월드 커피 로스팅 챔피언십 준우승을 했던 시...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