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컬럼 정보

【Cupping】 홈카페에서 직접 커핑을 진행할 수 있는 가이드

2019-07-01  


참조 https://counterculturecoffee.com/blog/any-coffee-any-brew





홈카페에서 직접 커핑을 진행할 수 있는 가이드




에스프레소용 원두와 필터 커피용 원두를 구분하지 않는 대표적인 로스터리는 카운터 컬쳐 커피와 덴마크 오르후스에 위치한 라카브라 커피이다. 특히 카운터 컬쳐 커피는 자사의 블로그에서 'Any Coffee Any Brew'라는 슬로건을 채택하여 블렌드 로스트와 싱글 오리진 로스트에 대한 경계를 허물었다. 그 이유에 대해 그들은 에스프레소 블렌드로 커피의 추출 방식을 제한하는 것은 그들이 로스팅한 커피에 대한 그들의 생각의 폭을 너무 좁게 만들었기 때문이라고 했다.

결국 블렌드 커피와 필터용 커피의 경계를 없애는 목적은 커피가 가진 다양한 맛의 잠재력을 다양한 방법으로 즐길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이는 구매자들이 자신이 추출할 커피에 대한 명확한 맛의 방향성을 가지고 추출 환경을 조작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자신이 추출할 커피의 맛의 방향성을 알기 위해 커피 바이어들처럼 커피 구매 후, 커핑 프로토콜에 따라 커피에 대한 맛의 범위를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이에 집에서도 커피의 맛을 보며, 인지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필요한 것들

  • 커피용 저울
  • 버 그라인더(Burr)
  • 원두
  • 사용할 컵들
  • 스푼
  • 타이머
  1. 약 7-8온스(약 210-240ml)용량의 컵을 찾는다. 
  2. 찾았다면 비어 있는 컵에 물을 부어서 실제 컵에 담기는 물의 무게를 측정하라.
  3. (온스를 기준으로) 컵에 담길 수 있는 물의 양에 1.63을 곱하라. 이것은 한 컵당 분쇄된 원두를 얼마나 사용할 것인지를 알려주는 공식이다. 예를 들어 7.5온스가 담기는 컵을 가지고 있다면 7.5*1.63으로 계산하여 12.2g의 커피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컵용량×1.63은 oz 단위에 유효하므로 한국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운 공식입니다.

      예시로 든 컵 용량 7.5oz=약 212ml이고, 제시하신 원두의 양이 12.2g이니 컵용량의 약 ×0.057g 만큼 원두가 사용 되는 셈입니다. 원문에서는 [커핑볼 용량(ml0.055=사용되는 커피의 양(g)]에 해당하는 공식을 소개한 것으로 보입니다. (김규원님의 댓글 中)
  4. Pourover 커피에서 선택하는 분쇄도보다 약간 굵은 분쇄도를 선택할 수 있다.
  5. 컵에 분쇄된 원두를 넣은 후, 컵을 들고 가볍게 흔들어 분쇄된 원두에서 발생하는 향(dry fragrance)을 맡는다.
  6. 깨끗하게 정수된 물을 끓인 후, 93-96도 정도의 물의 온도가 되었을 때, 컵에 부어준다. 컵의 가장 자리까지 물이 올라오도록 채워준다. 컵 표면으로 원두에 있던 껍질들(A crust of grounds)이 올라올 것이다. 그것들을 스푼으로 걷어서 버린다.
  7. 타이머를 4분으로 설정하고, 커피가 추출되는 동안 커피의 향을 맡을 수 있다. 온수에서 발생하는 열과 증기는 분쇄된 원두 자체의 향과는 다른 향을 발생시킨다.
  8. 4분 후에는 스푼을 사용해서 표면의 껍질들을 걷어낸다. 표면에는 커피의 껍질들 때문에 많은 이산화탄소 버블들이 갇혀 있다가 스푼으로 걷어낼 때, 버블들이 올라오고 터지면서 향을 전달한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몸을 숙여 향을 맡는다면 커피의 향기 정보를 더 많이 얻을 수 있다.
  9. 잠시 후, 스푼으로 부드럽게 표면의 나머지 껍질들을 완전히 제거한다.
  10. 5분 정도 커피를 식힌 후, 슬러핑(Slurping, 입안에 커피를 넣으면서 공기를 함께 들이마시는 행위) 으로 커피의 맛을 인지한다. 슬러핑은 커피를 공기와 함께 밀어 넣어 커피의 온도를 떨어뜨려 커피의 향기 정보를 우리의 비후강(냄새가 지나가는 경로)에 전달하여 맛에 대한 인지 강도를 높인다.
  11. 위의 플레이버 휠에서 자신이 발견한 맛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profile

ABOUT ME

대한민국 커피문화 소통 채널 블랙워터 이슈입니다. 컨텐츠 제보 / 컬럼 기고 / 로스터 정보 등록 / 광고 협의 등 커피 문화에 대한 모든 내용은 bwmgr@bwissue.com 로 문의 부탁드립니다.
블랙워터이슈 에디터

댓글 13

profile

RoasteryCafeIctus

2019-07-01 06:00  #790892

이거 대단한데요...집에서 커핑이라니...같이 커피 모임을 갖는 분들과 함께 기도해 봐야겠네요...ㅎㅎ

profile

"에스프레소용 원두와 필터커피용 원두를 구분하는 것은 로스팅한 커피에 대한 생각의 범위를 좁혔다." 라는 문구는 저에게 많은 것을 느끼게 해준 것 같네요.^^

profile

김왕자

2019-07-01 13:46  #791456

좋은정보!

profile

조재

2019-07-02 09:34  #795105

유익한 정보네요

profile

dbswldnjs774

2019-07-02 17:10  #796395

잘보고갑니다!

profile

별빛유

2019-07-02 17:18  #796428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JEE

2019-07-02 19:04  #796721

잘보고갑니다

profile

홍홍

2019-07-04 16:33  #799269

저도 해봐야 겠네요!

profile

Key'sPiano

2019-07-05 06:10  #800374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커피매니

2019-07-06 20:44  #803239

잘보고가요

profile

왕복싸대기

2019-07-08 01:09  #804730

맙소사 집에서 커핑이라니... ㅎㅎ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Myyyrae

2019-07-08 02:48  #804859

신박한방법이네요고맙습니다!

profile

커피여행

2019-07-09 16:35  #810452

카운터 컬쳐의 집에서 하기쉬운 커핑방법은 사실상 물과 커피의비율에대한 제시이나, 이 이론은 이미

SCA의 BREWING CHART 책을 보면  나와있습니다.

이 책은 우리가 사용하는 커피의 양과 그 원두에 붓는 물의 양과의 비율이 추출수율과 농도의 상관성때문에 중요함을 서술 하고있습니다.

사실상 1950년대 마국커피연구소(CBI)에서 나온 이론이지만, 지금껏 사용하고 있지요..그러나 SCA의 이런 기준은  월드 바리스타 대회나, 월드 부루어스컵대회등에서 우승을 하는 커피의 대부분은 이런 기준과는 같지않습니다.

다만, 여전히 커피와 물의 비율은 다소 농도와 추출수율이라는 과학적기준의 범주에선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커피에 물을 부을때의 온도와 분쇄도, 추출시간, 사용한 물의 양 등등에따라 추출된 커피속에는 용해된 향미 물질과 용해되지않고 남아있는 성분들의 구성비율은  다르게 됩니다.

우리가 가용성 성분의 농도와 수율을 측정해보는 것은 커피의 좋은 향미분석을 위해 중요합니다.

즉 커피의 품질평가 즉 컵핑이라는 관능평가와 더불어 중요한 도구입니다.

Coffee brewing control chart 에 의하면 커피의 농도는 1.15-1.35%이며 수율은 18-22%로 보고있습니다.


농도(%)=고형물의 양(g)/추출된커피의 양(g)x100           (고형물이란 커피속에 용해된물질의 양-TDS측정값)

추출수율(%)= 고형물의 양/사용한 원두커피의 양X100


커피원두속의 질량이 100일때 그중에서 용해될수있는 양의 비율은 수율이고,

추출된 커피용액속에 실제 용해된물질이 얼마인가는 농도인것입니다

실제로 수율은 26%이상은 나오기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커피 원두의 많은 부분이 섬유질즉 셀룰로오즈라 녹지않는 경우가 대부분인거죠.

우리는 커피원두속의 향미물질을 우리의 코와 입을 통해서 얼마만큼의 관능적 훈련을 하느냐에따라 좋은 커피를 알아낼수 있다고 봅니다.

【Cupping】 홈카페에서 직접 커핑을 진행할 수 있는 가이드 13

홈카페에서 직접 커핑을 진행할 수 있는 가이드 에스프레소용 원두와 필터 커피용 원두를 구분하지 않는 대표적인 로스터리는 카운터 컬쳐 커피와 덴마크 오르후스에 위치한 라카브라 커피이다. 특히 카운터 컬쳐 커...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9-07-01

【유지관리】 에스프레소 머신 클리닝: 커피 머신을 깨끗... 26

에스프레소 머신 클리닝: 커피 머신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방법 의문의 여지 없이 주기적으로 깨끗하게 청소된 머신은 더 나은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머신의 내부 부품들에 축적된 모든 찌거기를 제거하면 커피의 맛...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9-06-26

【Espresso】 추출의 일관성을 항상 유지하는 방법 47

추출의 일관성을 항상 유지하는 방법 에스프레소의 추출은 매일, 매 시간 달라진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크게 3가지 이유를 꼽을 수 있다. 이 3가지 이유에 대해 이해한다면 에스프레소 추출에 있어서 우리가 조정해...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9-06-25

【그라인더】 그라인드 리텐션(Grind Retention)이란? 왜 ... 35

그라인드 리텐션(Grind Retention)이란? 왜 중요할까? Grind Retention은 종종 커피 애호가들이 서로 다른 그라인더들의 장점을 논할 때 사용하는 단어이다. 국내에서는 좀 친숙하지 않은 단어일지 모르나, 개념은 간...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9-06-20

【추출】 라이트, 미디엄, 다크 로스트 커피를 로스팅 레벨... 27

라이트, 미디엄, 다크 로스트 커피를 로스팅 레벨에 따라 추출하는 방법 by Clive Coffee 미국의 커피 관련 제품들을 온라인에서 판매하는 클라이브 커피에서 로스팅 정도에 따른 추출 레시피를 자사의 블로그를 통해...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9-06-19

【MENU】 플랫 화이트에 대하여 by 파이브센시스 커피 60

플랫 화이트에 대하여 by 파이브센시스 커피 플랫 화이트(Flat White)의 역사와 각 지역에서 볼 수 있는 특징들 기사에서 우리는 플랫 화이트에 대한 역사와 각 지역에서 이 커피를 어떻게 보는지에 대해 다뤘다. 최...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9-05-30

【SCA NEWS】 "물과 커피의 산도: 다양한 추출 방법에... 11

SCA 뉴스에 실린 "물과 커피의 산도: 다양한 추출 방법에 맞는 물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SCA NEWS의 본문 기사 참조 : 물과 커피의 산도: 다양한 추출 방법에 맞는 물을 만드는 방법 – 25 지난 25일 스페셜티 커피 ...

작성자: JacobKim

등록일: 2019-05-27

【유지관리】 커피 머신을 청소해야 하는 이유를 이해할 수... 9

커피 머신을 청소해야 하는 이유를 이해할 수 있는 영상 해외의 유명 커피 블로그 I NEED COFFEE에서 듀르골 커피 머신 세정제와 관련된 글을 게재했다. 듀르골은 스위스 브랜드로 커피 업계에서는 어넥스만큼이나 유...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19-05-24

Fuglen TOKYO, Kenji Kojima 방한 그리고, 그의 이야기들이... 18

FUGELN TOKYO, Kenji Kojima 방한 그리고, 그의 이야기들 Fuglen 도쿄에 방문한 Norwegian 바리스타 챔피언 Einar Kleppe Holthe( Fuglen Oslo 3인 공동소유자 중 한 명, 나머지 한 명은 바텐더, 또 나머지는 가구 콜...

작성자: GenrePainterD

등록일: 2019-05-23

【Brewing】 2019 월드 브루어스컵 챔피언 두 지아 닝이 시... 4

ⓒ photo credit by @di_travelingbean 2019 월드 브루어스컵 챔피언 두 지아 닝이 시연에 선보인 다양한 팁들⑵ 지난 4월 미국 보스턴에서 개최된 2019 World Brewers Cup Championship에서 우승한 중국의 두 지아 닝 ...

작성자: BLACKWATERISSUE

등록일: 2019-05-21

더 맛있는 에스프레소를 위해 데미타세를 돌리지 말아야 할... 54

더 맛있는 에스프레소를 위해 데미타세를 돌리지 말아야 할 이유 By James Hoffman 영국 스퀘어마일의 대표 제임스 호프만이 더 맛있는 에스프레소를 즐기기 위한 팁을 유튜브를 통해 공유했습니다. 일반적으로 많은 ...

작성자: 서리

등록일: 2019-05-21

【INTERVIEW】 제5회 GSC 커피마스터 커핑 챔피언 문헌관 ... 8

제5회 GSC 커피마스터 커핑 챔피언 문헌관 인터뷰 지난 18일(토) 코엑스 컨퍼런스룸 402호에서 진행된 제5회 GSC 커피마스터 커핑 챔피언이 결정되었다. 지난 3월부터 수개월간 수백여명이 참가한 커피마스터 대회는 ...

작성자: BLACKWATERISSUE

등록일: 2019-05-20

【Roasting】 2019 WBrC 2위 패트릭 롤프가 Loring을 사... 8

2019 WBrC 2위 패트릭 롤프가 Loring을 사용하는 이유 덴마크에는 많은 유명 로스터리가 있다. 그 가운데 최근 주목받고 있는 로스터는 단연 April Coffee가 아닐까 한다. 사실 유럽 내에서 패트릭 롤프는 유명 로스...

작성자: BLACKWATERISSUE

등록일: 2019-05-14

【Trouble Shooting】 전기, 가깝고도 먼 당신 제2부 by Si... 5

전기, 가깝고도 먼 당신 제2부 지난 시간 계약 전력과 증설 그리고 차단기 분배에 관해서 이야기했는데요, 카페를 운영 중이거나 창업 예정인 분들에게는 아주 유용한 꿀팁이 아니었을까 생각합니다. 오늘은 지난 시...

작성자: BLACKWATERISSUE

등록일: 2019-05-14

프리인퓨전(Pre-Infusion)이란? 6

프리인퓨전(Pre-Infusion)이란? 미국 커피 머신 유통사 클라이브 커피에서 프리인퓨전에 대한 유용한 영상을 게재했습니다. 영상에서는 프리인퓨전에 대한 설명과 이를 통한 추출의 변화 양상이 설명됩니다. 프리인퓨...

작성자: 서리

등록일: 2019-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