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컬럼 정보

피터 줄리아노의 "8단계로 알아보는 커피 테이스터스 플레이버 휠" 사용법

2016-02-06  


원문출처 http://petergiuliano.tumblr.com/

tumblr_inline_o15ptevSP11qgqmk7_540.jpg



피터 줄리아노의 "8단계로 알아보는 커피 테이스터스 플레이버 휠" 사용법



피터 줄리아노(전 카운터컬쳐 생두 바이어)가 자신의 블로그에 SCAA 에서 새롭게 발표한 커피 테이스터스 플레이버 휠의 사용법을 자세히 안내했습니다. 피터 줄리아노가 말하는 8단계 이용 팁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 꼭 읽어볼 연관 글 :  SCAA, 완전히 새로워진 커피 플레이버 테이스터스 휠 공개



# STEP 1 : 찬찬히 살펴보기(Take it All In)


플레이버 휠은 좋은 커피가 그렇듯 아름답게 보이도록 만들어졌습니다. 휠은 커피 향미에 대한 포괄적이며, 만화경 같은형태를 나타냅니다. 단어들을 찬찬히 살피고 부담없이 접해보시면 됩니다. 친숙하지 않은 단어들이 있을 수 있겠지만, 그것도 좋습니다. 추후에 이에 대한 보다 나은 방법을 알려드릴겁니다. 지금은 가능한 커피의 복합성에 감탄하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 STEP 2 : 커피 테이스팅(Taste some Coffee)


플레이버 휠은 간단한 커피 시음이나 전문적인 커핑 시에도 모두 사용이 가능합니다. 어떤 상황에서든 주의깊게 맛을 보는 것이죠. 커피를 주의해서 준비해야 함은 물론 각 단계에서의 커피를 관찰해야 합니다. 


그라인딩 직후에 느껴지는 프래그런스(fragrance), 커피 파우더에 물이 닿으며 방출되는 아로마(aroma)들, 커피를 입에 머금을 때 느껴지는 향미들. "플레이버"는 맛과 향의 조합으로 정의되며, 향미 휠은  혀끝에서 느껴지는 기본적인 맛에서 부터 냄새로 지각되는 순수한 향기 성분들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향미의 속성을 포함합니다. 


대부분의 향미들은 감각들의 조합(예를 들어 신맛(sourness)과 레몬의 독특한 향기들, 혹은 단맛과 쓴맛, 당밀(molasses)의 향기 특성 등)입니다. 먼저 커피와 향미를 주의깊게 살폈다면, 이제 휠을 볼 차례입니다.


# STEP3 : 중앙에서 부터 시작하기(Start at the Center)


이 휠은 테이스터들에게 중앙으로 부터 시작하여 외곽으로 나아가도록 디자인되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맛들은 가운데 인근에 위치하며 외곽으로 갈수록 보다 명확한 계층으로 분화됩니다. 테이스터는 이러한 방향을 따라 어느곳에서든 멈출 수 있지만, 바깥부분으로 테이스팅이 진행될 수록 더 자세한 향미 특성으로 세분화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커피 테이스터는 에디오피아 커피를 테이스팅 할 때 프루티(fruitiness)한향미를 인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에 따라 휠의 프루티(fruity) 섹션을 따라 이동하면서 테이스터는 선택의 기로("베리류, 건과일,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혹은 기타" )에 놓이게 됩니다. 만약 테이스터가 "시트러스 프룻(citrus fruit)"을 선택했다면, 또 한층 자세한 분류(그레이프 프룻, 오렌지, 레몬, 라임) 중에 가장 유사한 향미를 선택해야 하구요. 향미를 하나씩 규정해나가면서 테이스터들은 다시 처음, 중앙으로 돌아가 인지되는 모든 다른 계열의 향미에서도 똑같은 작업을 반복할 수 있습니다. 이는 휠의 기본적인 기능이며, 휠의 수준 안에서 굉장히 간단히 사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휠을 벗어나 전문가들은 더욱 자세한 속성들을 기술 할 수도 있을겁니다.  


# STEP4 : Lexicon 읽기 (Read the Lexicon)


★ 꼭 읽어볼 연관 글 :  WCR 의 향미 표현집(Sensory Lexicon)의 특징에 대해


커피 테스스터스 향미 휠은 World Coffee Research Sensory Lexicon(훈련된 센서리 패널들이 과학적인 연구 목적으로 커피를 평가하게 하기 위해 디자인된 표준 향미 속성)을 기반으로 합니다. 비록 많은 향미 휠의 사용자들은 이러한 방법으로 트레이닝된 인원들은 아니겠지만, lexicon 은 여전히 휠에 나타난 향미 속성을 정의하는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각각의 속성들은 각각의 명확한 향미의 정의와 명확한 향미 속성을 찾는 테이스터의 캘리브레이션에 사용할 수 있는 "레퍼런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플레이버 휠과 lexicon 은 상호 연동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필요하다면, 테이스터들은 lexicon 을 속성 정의를 위해서나 혹은 참조 목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lexicon 은 향미의 기술적 분석(descriptive analysis)을 통해 훈련된 센서리 패널들을 위한 도구이지만, 전문 테이스터들에게도 훌륭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많은 기술(technical 적, 화학적 향미 묘사들이 존재할 수 있지만, lexicon 은 커피가 가진 모든 속성에 대한 센서리 참조를 제공하며, 그것들을 명확히 설명합니다.


# STEP5 : 레퍼런스 확인하기 (Check out some References)


모든 WCR lexicon 속 속성들은 레퍼런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중 많은 레퍼런스들은 슈퍼마켓이나 다른 곳에서 즉시 구할 수 있기도 하죠. 향미에 관한 레퍼런스들은 먹어볼 수 있지만, 향에 관한 레퍼런스는 섭취할 수 없으니 레퍼런스들의 맛과 향을 통해 커피의 향미들을 발견해야 합니다. 많은 레퍼런스들은 작은 잔에 담아 향을 좀 더 부각시킬수 있도록 하여 냄새를 맡는게 좋습니다. 레퍼런스 향에 대해 노트를 하고, 감각 기억을 사용해 이들을 기억하는 것이 좋습니다.


# STEP6 : 다시 중앙에서 시작하기 (Start at the Center Again)


lexicon 속성에 대한 지식과 함께 커피의 맛을 보세요. 또한 중앙에서 다시 시작하면서 특정 향미 속성들을 찾아냅니다. 이제, 이웃한 속성들을 함께 살핍니다. 인접한 속성이 아닌 멀리 떨어진 속성 셀을 발견할 수도 있습니다. 만약 두 속성 셀들이 서로 인접하여 연결되어 있다면, 이는 전문 테이스터들은 연구에서 이들 향미 속성들은 서로 높은 상호관련성을 가진다고 판단했다고 생각해도 됩니다. 그리고 만약 이들 셀들이 조금의 갭을 가지고 떨어져 있다면 테이스터들은 이들을 관련성이 조금 낮은 향미 속성이라 판단했다는 의미가 되죠. 휠의 중앙부에가면서 이들의 갭이 더 커진다면, 이들 향미들은 더 관련성이 낮은 속성들을 가지고 있다고 테이스터들이 판단했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커피 테이스터들의 경험에 비추어 각각의 커피 표현들을 캘리브레이션 하거나, 이들 표현을 많은 사람들에게 명확히 적용시키는데 유용할 수 있습니다.



 tumblr_inline_o236o2mWMv1qgqmk7_500.png


# STEP7 : 각자의 단어를 사용하기 (Use your Words)


이 툴들의 가장 우수한 점은 커피 테이스터들에게 기본적으로 공통적인 언어로 구성되었다는 것입니다. 산업 표준 휠의 존재는 모든 커피 전문가들이 테이스팅 연구실, 샵에서 이같은 공통적인 문서를 통해 연구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또한 우리는 이들 공식 표현들의 공유를 통해 의사소통할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합니다. 이미지화 할 수 있는 표현들과 화려한 서술들도 훌륭하지만, 가끔은 향미를 통한 소통을 더욱 어렵게 만듭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커피를 통한 소통을 원하는 이들을 위해 공통적인 언어들을 휠에 표현하는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 STEP8 : 색상 학습 (Study the Colors)


우리의 시각은 다른 감각들과 강력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음식의 맛이 어떻게 느껴지는지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흔히 시각적 용어를 향미를 표현하는데 활용하기도 합니다. 커피의 맛이 밝다, 붉은 빛깔, 혹은 녹색 계열이다 등으로 말이죠. 이러한 지각과 함께 우리는 휠의 색상에 좀 더 집중하여, 색상과 속성들이 서로 명확하게 연결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이것은 테이스터들이 향미의 속성을 빨리 찾아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맛이 레드 프룻 혹은 그 쪽 계열 같다" 같은 인상을 통해 말이죠. 이 경우 휠의 붉은 계열의 영역을 먼저 살펴보는 것이 유리합니다. 만약 "브라운 계열의 맛이다" 같은 인상을 받았다면, 휠에서 그러한 색상 영역을 확인해보는 것도 효과적이죠. 이같은 방법은 스파이시, 그레인(spice, grain) 노트들에도 해당이 됩니다.



원문출처 : http://petergiuliano.tumblr.com




제보 : bwmgr@bwissue.com

profile

ABOUT ME

대한민국 No.1 커피 미디어 "블랙워터이슈" 입니다.
일반회원

댓글 2

profile

커피바다

2017-08-11 15:38  #269073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또 공부할 게 생기는군요~
profile

코코코

2019-06-13 02:47  #750018

좋은 정보 정말 감사합니다!


피터 줄리아노의 "8단계로 알아보는 커피 테이스터스 플레... 2

피터 줄리아노의 "8단계로 알아보는 커피 테이스터스 플레이버 휠" 사용법 피터 줄리아노(전 카운터컬쳐 생두 바이어)가 자신의 블로그에 SCAA 에서 새롭게 발표한 커피 테이스터스 플레이버 휠의 사용법을 자세히 안...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16-02-06

블랙워터스트림 : 첫 방송 | The Virgin Flight 2

블랙워터스트림 : 첫 방송 | The Virgin Flight Ep.00 블랙워터의 새로운 프로젝트 블랙워터스트림입니다. 본격적인 국내외 커피뉴스와 관련 이슈를 다루는 PODCAST 로 커피와 커피 문화, 산업에 대한 다양한 주제로 ...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16-02-05

[커피 이론] 맥스웰 코로나 대쉬우드가 말하는 커피 그라인...

제보 : bwmgr@bwissue.com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16-02-05

커피 캡슐, POD 트렌드가 저물고 있다?

커피 캡슐, POD 트렌드가 저물고 있다? 워싱턴 포스트지가 미국인들의 커피 문화에 대한 인상적인 글을 게재했습니다. 2011년부터 엄청난 인기를 받으며, 큰 성장세를 보였던 큐리그(Keurig)로 대변되는 캡슐 및 POD(...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16-02-04

아프리카 커피 산지 투어 2016 ― 1편 에티오피아

M.I COFFEE 아프리카 커피 산지 투어 2016 1편 에티오피아(Ethiopia) 도움: M.I COFFEE 글: 유승권(뉴웨이브 커피로스터스) 스페셜티 커피의 도래는 우리가 생소해하던 오리진으로 발길을 이끄는데 일조하였습니다. ...

작성자: 외부기고컨텐츠

등록일: 2016-02-04

모닝 커피에 조금은 색다른 활력을 불어넣고 싶다면 - 시나...

모닝 커피에 조금은 색다른 활력을 불어넣고 싶다면 - 시나몬 브루(Cinamon Brew) 커피 한잔으로 아침을 시작하시는 분들께 조금은 색다른 커피 추출 방식 아이디어를 제안할까 합니다. 커피와 오랫동안 매칭되어 다...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16-02-03

아는 사람만 안다는 스타벅스의 시크릿 메뉴 "Underto...

아는 사람만 안다는 스타벅스의 시크릿 메뉴 "Undertow" 스타벅스는 잦은 계절별 메뉴나 신메뉴들의 런칭을 항상 고대하는 많은 스타벅스 매니아들이 있을 정도로 다양한 음료의 레시피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유명하죠...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16-02-03

뉴질랜드의 한 카페의 저지방 우유 메뉴 판매 중단 선언이 ...

뉴질랜드의 한 카페의 저지방 우유 메뉴 판매 중단 선언이 불러 일으킨 논란 뉴질랜드 동부 소재 카페 리틀턴 커피 컴퍼니(Lyttelton Coffee Company가 최근 SNS 상에 노출된 사진 한장으로 카페 이슈의 중심에 섰습...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16-02-02

카페에 트는 음악이 커피 맛을 바꿀지도 모른다?

카페에 트는 음악이 커피 맛을 바꿀지도 모른다? 12년 전 옥스퍼드 대학의 실험 심리학 교수 찰스 스펜스( Charles Spense)는 식품을 섭취하는 도중 인지하는 소리가 음식의 맛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를 진행...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16-01-31

당신이 봐야만 하는 3가지 유럽 카페 컨셉 By 유로피언 커...

당신이 봐야만 하는 3가지 유럽 카페 컨셉 By 유로피언 커피 트립(europeancoffeetrip.com) 블랙워터이슈와 파트너쉽을 맺고 있는 유러피언 커피 트립(europeancoffeetrip.com)에서 여러분들이 참고하실 만한 매력적...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16-01-29

[Seed to Cup] 3. 커피 가공, 내추럴 및 허니 프로세스 방식 6

Las Lajas Micromill - Costa Rica from Cafe Imports on Vimeo. 커피 가공 Seed to Cup #3 「Natural Process」 작년에 개최된 국내의 다양한 바리스타 대회들에서 가장 자주 언급되었던 커피하면 코스타리카 라스 ...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6-01-27

우유에 대한 개괄적 이해, Milk : From Cow to Cup by Fres... 3

바리스타들에게 있어 커피 만큼이나 중요시 되고 있는 부분인 우유. 해외의 Fresh Cup Magazine 에서 우유에 대한 이해를 높여줄 수 있는 컬럼을 게재했습니다. 블랙워터이슈에서는 그 내용을 부분적 인용, 첨삭하여 ...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16-01-27

EK43 에 대적할 만한 가정용 그라인더는? 1

▲ 사진 : Engadget.com EK43 에 대적할 만한 가정용 그라인더는? By Engadget.com 각종 전자 제품 및 기기들에 대한 리뷰와 심도 있는 시각을 전하는 엔가젯(Engadget.com)에서 재미있는 내용을 하나 게재했습니다. ...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16-01-26

온라인을 통해 공개 된 프로바트의 뉴 이미지 필름 1

출처 : https://vimeo.com/152954897 1868년부터 현재까지 커피로스팅산업을 이끌어 온 프로바트의 커버영상이 Vimeo를 통해 공개 됐습니다. 독일 서북부, 라인강 인근의 작은 도시 에머리히(Emmerich)에 위치한 프로...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6-01-25

슬로우 모션으로 보는 감성적인 모카포트 추출 1

가정용 모카포트로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 과정을 슬로 모션으로 촬영한 영상입니다. 알레씨 포트를 사용해서 가정용 버그라인더로 그라인딩한 커피로 추출하는 단촐한 세팅이지만, 슬로모션으로 보는 커피는 이미 눈...

작성자: 서리

등록일: 2016-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