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컬럼 정보

다양한 드리퍼 재질이 추출 결과물에 미치는 영향과 트렌드

2022-02-15  



다양한 드리퍼 재질이 추출 결과물에 미치는 영향과 트렌드


대개 추출 수온은 커피 추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드리퍼의 재질은 추출수의 온도를 주고 받는 직접적인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브루어스 컵 대회에 참가하는 선수들은 자신의 커피에 맞는 드리퍼 재질을 찾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실제 Coffee Ad Astra라는 블로그를 운영 중인 조나단은 자신의 블로그에서 드리퍼의 재료가 커피가 추출되는 동안 열을 유지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말한다. 즉 드리퍼의 소재에 따라 열용량과 단열 수준이 다르기 때문에 열을 전달하는 용량과 유지하는 정도가 다르다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가 흔히 말하는 "비열 용량(Specific heat capacity)"과 차이가 나는데 비열의 경우 해당 물질의 1g당 1도를 올리기 위한 에너지의 양이지만 "열용량(Heat Capacity)"의 경우에는 해당 물질의 전체 질량이 1도를 올리기 위한 에너지의 양이다. 예를 들어 큰 욕조의 물이 컵의 물보다 열용량이 크다. [더 자세한 내용은 「열용량」에 관한 위키 백과 내용 참고]

따라서 브루잉 커피 추출시 드리퍼 소재가 중요한 첫 번째 이유는 드리퍼 자체의 온도가 상승하기 전에 재료가 흡수해야 하는 열의 총량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드리퍼 가운데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레스 스틸 드리퍼가 선호되는 이유는 다른 재료보다 열 질량이 낮고 무게도 가볍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더 빨리 가열되고, 근본적으로 추출 결과물에서 더 적은 열을 빼앗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유리 및 세라믹과 같은 재료는 같은 온도 수준에 도달하는데 더 긴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추출수에서 더 많은 열을 빼앗는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습관이나 환경 그리고 추출 대상에 따라서 각 소재의 장점이 부각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소재가 더 낫다고 보기는 어렵다. 하지만 소재에 대한 이해도는 추출하는 사용자에게 추출 결과물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단서가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이미 「맛있는 커피를 위한 고민 - 드리퍼(Dripper) by nothin Coffee」기사에서 자세한 내용을 다룬 바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다양한 소재의 드리퍼를 통해 더 많은 소비자들과의 접점을 찾으려는 시도도 있고, 다양한 소재를 함께 사용하여 소재의 단점을 극복한 사례들도 있다. 또한 커피 애호가들의 소비 수준 상향을 고려하여 더 나은 소재를 찾아 드리퍼의 고급화를 선보이기도 한다. 그 몇 가지 드리퍼를 소개한다.



다양한 소재의 사용

오리가미 드리퍼는 2019년 월드 브루어스컵 챔피언 두 지아 닝이 사용하여 더욱 유명세를 얻었다. 그 전에는 그저 유려한 외관을 가진 드리퍼로 인식되었지만 두 지아 닝이 사용한 이후 이 드리퍼가 하단의 넓은 홀을 가지고 있는 구조로 커피층을 물이 보다 빠르게 통과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어 숙련도를 가진 사용자라면 맛의 강도를 사용자의 물줄기 조절에 따라 제어할 수 있는 드리퍼로 알려졌다. [아래 링크 참조]


1644903490491.png


하지만 핸드 메이드로 제작되는 제품인 만큼 높은 가격이 소비자들에게는 장벽이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국내에 곧 출시될 Air S 모델의 경우 끓는 물에 저항성이 강하고 식기 세척기에서도 세척이 가능한 재질의 플라스틱을 선택하여 제작되었다. 기존 드리퍼의 구조에서 오는 장점을 취하면서도 소재 변경을 통해 오리가미 드리퍼가 더 많은 대중들이 만날 수 있는 드리퍼로 거듭났다.



다양한 소재에 대한 도전은 하리오 역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미 블랙워터이슈의 독자들에게 공개된 바 있는 하리오 100주년, 하리오를 대표하는 V60 드리퍼의 역사에서 언급된 것처럼 유리라는 소재의 드리퍼부터 메탈에 이르기까지 하리오 역시 다양한 소재를 시도해 온 기업 가운데 하나이다. 




다양한 소재의 결합

최근 일본, 미국, 국내에 이르기까지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는 스테드패스트 드리퍼 역시 다양한 소재의 사용으로 한 가지 소재의 단점을 극복한 좋은 사례이다. 스테인레스 소재가 추출 수온의 열을 덜 빼앗는 장점과 더불어 급격한 온도 변화를 지양하기 위해 단열재가 포함된 레더 홀더를 구성품으로 추가했다. 이는 다양한 커피의 개성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데, 스테인레스 재질만 사용할 경우 추출 진행 중 다양한 온도 변화로 역동적인 추출이 가능하며, 홀더를 사용할 때에는 보다 안정적인 추출까지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고급 소재의 사용

소재의 고급화는 보다 다양한 소비자들의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는 좋은 선택이다. 대표적으로 칼리타의 츠바메 라인이다. 일본은 세계적으로 금속 가공에 있어서 유명한 나라이다. 이 가운데 츠바메 지역에서 생산되는 금속 제품은 더욱 유명하다. 여러 번에 걸쳐 진행되는 금형 작업, 고른 표면과 모양을 위한 연마, 깊이 있는 색감과 광택을 위한 도금 가공까지 츠바메 라인은 장인의 손을 거친 드리퍼로 많은 커피 애호가들의 꿈의 드리퍼 가운데 하나이다. 

소재에 따른 추출 결과물은 소재가 가진 열용량과 비열 용량에 따라 변화하는 추출 수온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이 제조사들에서는 다양한 소재의 사용으로 제품의 단점을 극복하고 더 많은 소비자들과의 접점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제 각 소재의 특성을 비교했다면 남은 건 선택이다.


profile

ABOUT ME

대한민국 커피문화 소통 채널 블랙워터 이슈입니다. 컨텐츠 제보 / 컬럼 기고 / 로스터 정보 등록 / 광고 협의 등 커피 문화에 대한 모든 내용은 bwmgr@bwissue.com 로 문의 부탁드립니다.
블랙워터이슈 에디터

우리의 혀는 맛을 어떻게 알아내는가? by Coffee Mind 8

우리의 혀는 맛을 어떻게 알아내는가? by Coffee Mind 블랙워터이슈에서는 커피의 맛을 인지하는 혀에 대한 여러 기사들을 공개한 바 있다. 그 가운데에는 아래와 같은 기사들이 있다. 【Cupping】 커피를 마시면서 ...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20-11-02

바(Bar) 워크 플로우의 향상, 심플 스마트 : 스마트 엣징거... 9

바(Bar) 워크 플로우의 향상, 심플 스마트 : 스마트 엣징거 etzMax 스페셜티 커피 산업의 기술적 발전이 가속화되는 동시에 "효율성"이라는 단어 역시 이젠 커피 산업에서 뗄래야 뗄 수 없는 주요한 단어가 되고 있습...

작성자: 서리

등록일: 2020-10-27

뷸러(Buhler)는 왜 바이샤프트(Weishaupt) 버너를 채택했을까? 3

뷸러 로스트마스터 RM20 모델, 클라스카 커피 뷸러(Buhler)는 왜 바이샤프트(Weishaupt) 버너를 채택했을까? 부제 : 버너와 열의 전달이 커피 품질에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스페셜티 커피 시장의 확대와 더불어 점...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20-10-20

에스프레소 머신의 모터펌프 압력이 추출 결과물에 미치는 ... 27

에스프레소 머신의 모터펌프 압력이 추출 결과물에 미치는 영향 by Bean brothers 1. 서론 현재 에스프레소 추출에 있어 가장 적합한 압력은 통상 9bar 라고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한 근거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실제...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20-09-08

과다 추출(Over extraction)의 정의와 그 한계에 대해 9

비비엠 도모바 에스프레소 머신. 출처 : https://www.instagram.com/p/CCYyZgGJKsz/ 과다 추출(Over extraction)의 정의와 그 한계에 대해 이 기사는 Scott Rao의 인스타그램 피드의 내용을 본 필자의 견해임을 미리 ...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20-09-03

에스프레소 머신에서 추출수 온도가 추출 결과물에 미치는 ... 12

에스프레소 머신에서 추출수 온도가 추출 결과물에 미치는 영향 by Bean brothers 1. 서론 훌륭한 품질의 커피를 일관성 있게 제조하기 위해선 생두 선별과 로스팅 과정 뿐만 아니라 추출 과정도 중요한 요소 중 하나...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20-09-01

브루잉 커피에서 최적의 유속을 얻는 방법 by 스캇 라오 5

Illustration of different types of agitation imparted to the coffee slurry by different shapes of water streams. 브루잉 커피에서 최적의 유속을 얻는 방법 by 스캇라오 푸어오버(Pourover) 방식의 커피에서 ...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20-08-26

필터 커피 추출시 블루밍(Blooming), 과연 적절한가? 14

필터 커피 추출시 블루밍(Blooming), 과연 적절한가? 많은 커피 애호가들은 필터 커피 추출시 사전 적심 혹은 블루밍(Blooming)을 거의 종교처럼 신뢰한다. 그리고 많은 커피 교육자들도 이 과정이 커피를 추출하는데...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20-08-05

에스프레소 추출에 있어서 최적의 유량은? by 스캇 라오 4

에스프레소 추출에 있어서 최적의 유량은? ↑Scott Rao 에스프레소 추출에서 수율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 최근 다양한 접근이 이뤄지고 있다. 이에 세계적인 커피 교육자인 스캇 라오는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에서 에...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20-07-30

[에스프레소 추출 시리즈 #1] 디개싱(Degassing) 기간이 커... 17

디개싱(Degassing) 기간이 커피 품질에 미치는 영향 [Contents by BEANBROTHERS] 국내 유명 로스터리 브랜드인 빈브라더스에서 에스프레소 추출과 관련된 몇 가지 실험들을 블랙워터이슈 독자들을 위해 공개했다. 총 ...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20-07-27

추출 압력에 대한 새로운 트렌드와 그 실제 21

추출 압력에 대한 새로운 트렌드와 그 실제 호주에서 스페셜티 커피 필드에 초점을 맞춘 매거진으로 잘 알려진 빈씬(Beanscene) 매거진에서 Water for Coffee의 저자로도 잘 알려진 크리스토퍼 헨돈 박사의 논문에 대...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20-07-20

미분 : 에스프레소에는 긍정적이지만 필터 커피에는 그렇지... 6

미분 : 에스프레소에는 긍정적이지만 필터 커피에는 그렇지 않은 요소 (2) by Scott Rao 관련 기사 : 미분 : 에스프레소에는 긍정적이지만 필터 커피에는 그렇지 않은 요소 (1) 커피 원두의 수용성 성분은 대략 35%이...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20-07-13

미분 : 에스프레소에는 긍정적이지만 필터 커피에는 그렇지... 5

미분 : 에스프레소에는 긍정적이지만 필터 커피에는 그렇지 않은 요소 (1) by Scott Rao 가끔씩 나는 커피 추출과 플레이버에 있어서의 미분의 역할을 오해하고 있는 이야기를 듣거나 읽게 된다. 나는 어떻게 커피가 ...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20-07-07

바라짜 버추소의 새로운 모델, 플러스 모델 리뷰 2

바라짜 버추소의 새로운 모델, 플러스 모델 리뷰 바라짜 버추소 플러스 모델이 국내 정식 런칭할 예정이다. 전세계 가정용 그라인더 가운데 가장 많은 사랑을 받는 모델이 업그레이드되어 출시되는 것인만큼 커피 애...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20-07-06

커피 그라인더의 버 정렬이 필요한 이유 - (2) 4

커피 그라인더의 버 정렬이 필요한 이유 - (2) 커피 그라인더의 버 정렬이 필요한 이유 - (1) 기사를 통해 버셋(Burr Set)의 수평 정렬이 왜 중요한지에 대해 이해했다. 이제 상업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말...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20-07-03

커피 그라인더의 버 정렬이 필요한 이유 - (1) 7

커피 그라인더의 버 정렬이 필요한 이유 - (1) 흔히 커피 버(Burr)의 종류에 따라 코니컬(Conical)과 플랫(Flat)으로 나뉜다. 점차 스페셜티 커피 산업이 커지고, 과학적인 접근이 이루어지면서 단지 버의 형상이나 ...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20-07-02

물의 경도를 쉽게 계산해 주는 온라인 경도 계산기 3

물의 경도를 쉽게 계산해 주는 온라인 경도 계산기 최근 커피를 위한 물에 대한 관심이 많은 커피 애호가들에게 관심을 받고 있다. 필자 역시도 근래 들어 다양한 생수로 추출을 시도해 보면서 커피를 위한 물의 차이...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20-07-01

분쇄 속도(rpm)의 변화에 따른 입도 분포의 변화와 최근 트... 7

분쇄 속도(rpm)의 변화에 따른 입도 분포의 변화와 최근 트렌드 최근 여러 그라인더 제조사에서 주목하고 있는 하나의 이슈는 커피 그라인더의 분쇄 속도(rpm)이다. rpm이라는 단어는 Revolutions per minute의 약어...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20-06-26

브루잉 커피 추출시 종이 필터를 재사용할 수 있을까? by ... 6

A post shared by Scott Rao (@whereisscottrao) COFFEE TIP OF THE DAY!! Inspired by @fatrabbit_coffee ’s comments about his exper... Instagram - whereisscottrao 브루잉 커피 추출시 종이 필터를 재사용할 수...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20-06-19

Fellow 사의 ODE 그라인더 프로토타입 간략 프리뷰(Preview) 7

Fellow 사의 ODE 그라인더 프로토타입 간략 프리뷰(Preview) [얼리버드이벤트]펠로우 오드 브루 그라인더 ODE BREW GRINDER(예약주문) 로프트샵 abletogo.godomall.com - 테이블투 전세계에서 출시를 준비 중이며, 킥...

작성자: BW컨텐츠팀

등록일: 2020-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