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컬럼 정보

【Roasting】 우리의 커피가 쓰지 않기 위해 로스팅 전 해야 할 일에 대한 소고

2017-11-21  


원문출처 http://blog.naver.com/cconsumers/221137288968
IMG_8779.jpg

 




우리의 커피가 쓰지 않기 위해 로스팅 전 해야 할 일에 대한 소고



 
로스팅 후 맛본 커피에서 느껴진 강한 쓴맛, 입 천장에 먼지가 붙어있는 거 같은 껄끄러움. 혹은 텁텀함. 단순히 로스팅에서만 문제점을 찾는 것은 매우 섣부른 판단이란 것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추출부터 원두 관찰까지 역으로 추적하기 시작했다. 물론 그렇다고 원인이 한가지로 귀결되지는 않는다. 커피에 완벽한 재현이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에게 이러한 과정은 앞으로 더 잘 하기 위한 발판, 좀 더 나아가자면 균일한 품질을 위한 노력인 셈이다. 일단 원인은 다른 곳에 있었고 역추적의 중, 눈에 보였던 한 원두의 상태를 보고는 과거에 공부했던 내용을 복습하게 되었다.



 
image_7276918651510237594147.png
Green Defeat - Insect Bean




커피의 재배 중 Insect Pests는 매우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오늘도 원두를 하나하나 세밀하게관찰하던 중, 새롭게 테스트하고 있는 과테말라 커피의 일부에서 Insect Bean을 볼 수 있었다. 물론 어느 생두에나 이런 커피는 섞여 있을 수 있다.


 
 
2017-11-21.png
줄기에 구멍을 꿇고 알을 낳는 Xylotrechus Quadripes, 가지의 탄력이 부족하여 가벼운 충격에도 너무가 부러질 수 있다.
 
 
2017-11-21 (3).png
 
애벌레가 줄기를 파고들어 잎을 노랗게 만드는 하늘소종의 Acalolepta Cervina & 아시아권에서만 발견되는 줄기를 파 먹는 Zeuzera Coffeae 성충
  

 
2017-11-21 (4).png
Coffee Berry Borer Insect로 피해를 주고 있는 커피 천공충 CBB




우리가 마시는 완벽한 한 잔의 커피를 위해서 우리는 위 해충의 피해를 최소화 혹은 극복해야 한다. 물론 최종 소비국에서 로스터이 할 수 있는 일은 생두를 하나씩 확인하는 일일 것이다. 그 가운데 커피 해충의 일부 중 작금의 로스팅까지 연관될 수 있는 현상은 가장 아래의 사진인 CBB의 결과물일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산지에서 할 수 있는 노력이라면 주기적으로 가지의 열매를 제거하거나 가지 치기를 해야 한다. 구멍난 체리는 그렇게 지구 반대편 농장의 노력으로 소비국으로 건너오게 된다. 하지만 수입하는 생두 전체에서 완벽을 기대하기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로스터로써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에 대해 오늘 생각해보자.



 
image_788871651510241927529.png

 


원두 하단 부분에 Insect Bean가 발생한 원두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사진으로 보기에 다소 화질이 좋지 않지만 잘 보면 구멍이 뚫린 부분이 새카맣게 탄 것을 볼 수 있다. 로스팅 중에 Burnt되었고 이는 육안으로 쉽게 관찰할 수 있었다. 이 뿐만 아니라, 일전에 일부 구글과 논문에서 찾아 보았던 로스팅 과정에서 유독 빨리 타 들어갔던 부분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바로 생두에서 가장 밀도가 낮은 부분. 그리고 미세하게 구멍(스크래치)이 뚫려 있는 부분이었다. 또한 잘못된 학습으로 알고 있는 부분은 바로 Tipping이 있는데 이는 원두가 얼룩덜룩하거나 그을리게 보이는 색소 착시 현상과 연관된다. 이는 나중에 다른 기사를 통해 주관적인 생각을 담아볼 생각이다. 다시 원점으로 돌아와 생두에서 연약한 부분이나 어떠한 특정 부분, 그리고 인섹트 빈으로 인한 곳이 유독 잘 타버리게되는 경우는 많다.

   

 
2017-11-21 (.png

 


원두 내부까지 도달하는 가장 연약한 부분은 왜 쉽게 타는 것인가?  로스팅 중 생두 외관에 크랙이 생기면 침투되는 열의 면적이 높아 그렇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생두의 보관과 크랙이 일어났을 경우, 어떤 특정 열원을 사용하는 로스팅 구조에서 화력을 줄여 흔히 Develop Time을 늘려줘야 한다. ( 필자가 대류가 높은 로스터와 화력이 너무 강해 드럼을 감쌀 정도로 램핑이 강한 전도성 로스터를 함께 경험했다는 것이 정말 행운이였다고 생각한다.) 이는 지극히 물리적인 문제이다. 인섹트 빈이나 혹은 생두의 스크래치의 유무에 따라 같은 로스팅을 진행해도 타 들어간 로스팅 디펙트가 되어 버린다. 저 부분을 칼로 소량 긁고 먹어보았는데 너무 쓰고 텁텁했다. 반면 곳곳에 얼룩이 검게 보였던 부분을 긁어 먹어보았고 유독 한 쪽만 검게 보였던 부분 그 어디에서도 탄 맛은 느낄 수 없었다. 이는 로스팅 중에 생긴 미숙한 램핑 보다는 생두의 관찰과 선별부터 이뤄져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Cultured Consumers 기고글 보기
【About Cafe ⑴】 카페를 한다는 것
【About Cafe ⑵】 카페를 한다는 것, 그 두번째 이야기
Costa Rica Finca Pie-San'La lia' 그리고 D.T(Developed Time)의 개인적인 고찰
커피 로스팅에서의 T.P의 이해
약배전 커피와 덜 익은 커피에 대한 단상
에스프레소에서의 낮은 추출 온도
이지스터(Easyster), 덕트의 이해
바리스타에게 요구되는 기본 소양은 무엇일까
커피 블렌딩(BLENDING)에 관한 개인적인 고찰
카페 창업 가이드 ― 중저 예산으로 생각할 수 있는 에스프레소 머신들
추출에 대한 각기 다른 시선 ― 엔지니어, 바리스타, 로스터
카페에서 자격증이 필요 없는 이유
낮은 투입 온도에 대한 개인적인 소고
커핑(Cupping), 주관적인 가이드 라인
나의 Developed Time 다양성과 이해 방식
카페에서 정말 필요한 커피란
【도쿄 커피 에세이】 같지만 다른 방식으로
커핑을 통해 커피의 용도를 찾는 연습
지금까지 경험한 생두의 국가 성향에 따른 주관적인 로스팅 가이드
물에 어울리는 커피와 우유에 어울리는 커피에 대한 소고
브랜딩(Branding), 시각화하는 능력
맛있는 커피를 마시고 싶은가요?
그라인딩의 핵심 - 칼리브레이션(Calibration)
덕트가 포함된 로스터기를 통해 알아 보는 열의 구조
로스팅 전에 확인해야 하는 조건 ― 생두 크기
로스팅 Air Temp에 대한 개인적 소고
어떤 에스프레소 머신을 사야 할까?

로스팅 전에 확인해야 하는 조건 - 화력과 온도계의 이해
식품 제조 허가의 첫걸음 ― 건축물 용도 확인
식품 제조 허가의 첫 걸음(2) ― 지역 확인
 
배준호   Roaster
photo Email: cconsumers@naver.com
Website: http://blog.naver.com/cconsumers

 
 


 
profile

ABOUT ME

대한민국 최초 & 최대 온라인 커피 미디어 시장을 연 블랙워터이슈는 2012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스페셜티 커피 시장을 기반으로 국내, 외 업계 전반에 대한 뉴스와 칼럼, 교육 정보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일반회원

【카페 창업】 매장 준비 - 부동산 계약 전 주의사항 1

매장 준비 - 부동산 계약 전 주의사항 식품 제조 허가의 첫걸음(1) ― 건축물 용도 확인 식품 제조 허가의 첫 걸음(2) ― 지역 확인 이번 식품 제조 허가 관련하여 포스팅하는 연재물 중 마지막 내용을 담는다. 이 전의...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11-28

【Roasting】 잘 디벨롭된 라이트 로스팅의 유용성에 대한 ... 9

잘 디벨롭된 라이트 로스팅의 유용성에 대한 실험과 평가 호주 내 라이트 로스팅의 배경 호주는 전통적으로 밀크 커피가 강세인 나라 중 한 곳입니다. 플랫 화이트(flat white)로 대표될 수 있는 호주의 밀크 커피 메...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11-27

【Roasting】 로스팅 전 핸드픽이 필요한 생두에 대한 고찰 1

로스팅 전 핸드픽이 필요한 생두에 대한 고찰 몇 년 전, 로스팅에 관련된 정보를 찾아보면서 지금 포스팅에 담을 내용을 접하게 되었고 이후 많은 정보와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내용의 큰 틀은 복잡하지 않다. 생두...

작성자: 외부기고컨텐츠

등록일: 2017-11-23

[연재칼럼] 정글에서 살아남기 제1화, 진짜를 구분하는 법 4

정글에서 살아남기 제1화 진짜를 구분하는법 : 관찰하기 생존이 걸린 일에 아무런 준비도 없이 무작정 시작하는 사람이 있을까요? 내가 어느날 갑자기 무인도에 떨어졌다면 무작정 먹을 것을 찾아서 밀림 속으로 들어...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11-23

【Roasting】 우리의 커피가 쓰지 않기 위해 로스팅 전 해...

우리의 커피가 쓰지 않기 위해 로스팅 전 해야 할 일에 대한 소고 로스팅 후 맛본 커피에서 느껴진 강한 쓴맛, 입 천장에 먼지가 붙어있는 거 같은 껄끄러움. 혹은 텁텀함. 단순히 로스팅에서만 문제점을 찾는 것은 ...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11-21

【카페 창업】 식품 제조 허가의 첫 걸음(2) ― 지역 확인 1

식품 제조 허가의 첫 걸음(2) ― 지역 확인 사용된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을 알려 드립니다. 지난 기사에 이어서 부동산을 기반으로 쌓인 정보가 많아졌다. 현실적인 대처와 판단은 결국 자신의 몫이라 생각했기에...

작성자: 외부기고컨텐츠

등록일: 2017-11-15

정글에서 살아남기 프롤로그 by 알레그리아 커피 유기용 대표 3

정글에서 살아남기 알레그리아 커피 비즈니스 컬럼 프롤로그 많은 사람들이 ‘삶’을 ‘정글’에 비유합니다. 언제부터인지 저도 ‘인생은 정글’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맹수들을 비롯한 각종 위험이 ...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11-15

【카페 창업】 식품 제조 허가의 첫걸음 ― 건축물 용도 확인 1

식품 제조 허가의 첫걸음 ― 건축물 용도 확인 카페를 시작하는 어려움 가운데 하나는 원두 납품을 위한 식품제조허가를 위한 준비이다. 이 과정을 조금은 간접적으로나마 공유를 하고 싶어 포스팅으로 옮긴다. 연재물...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11-14

Roast의 코니 블룸하트와의 인터뷰 에필로그

Roast의 코니 블룸하트와의 인터뷰 에필로그 코니 블룸하트와 인터뷰를 가지며 나눴던 업계 주변 현상에 대한 대화 내용을 정리해 봤다. 오랜 시간 커피 전문 매체인 Roast의 편집장으로서 쌓아온 경험을 토대로 친절...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11-07

Book of Roast의 발행인, 코니 블룸하트와의 인터뷰 3

l 사진제공 : 로스트매거진 코리아 Book of Roast의 발행인, 코니 블룸하트와의 인터뷰 with Roast Magazine Korea 지난 주 방한한 로스트매거진의 편집장 코니 블룸하트와 함께 Book of Roast 한글 번역본 출간에 대...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11-06

53(54)mm vs 58mm 포터필터, 바스켓 사이즈의 차이와 논의 6

53(54)mm vs 58mm 포터필터, 바스켓 사이즈의 차이와 논의 현재는 대부분 58mm 의 포터필터 사이즈가 표준화에 가깝게 통일이 되었지만, 아직도 53~54mm 사이즈의 포터필터 바스켓 규격으로 에스프레소 머신을 생산하...

작성자: 서리

등록일: 2017-11-06

하리오 제공, 테츠 카츠야의 "46 추출법" 영상 ...

하리오 제공, 테츠 카츠야의 "46 추출법" 영상 레시피 브루어스 컵 챔피언 일본의 테츠 카츠야의 46 추출법 영상이 하리오 공식 유튜브 계정에 게재되었습니다. 관련 추출 방법은 블랙워터이슈의 블랙워터 크런치에서...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17-11-03

【Tokyo】 Nordic Roasters Forum in TOKYO 노르딕 로스터... 1

Nordic Roasters Forum in TOKYO 노르딕 로스터스 포럼의 경쟁 커피, 도쿄에서 커핑 이벤트로 ! Nordic Roasters Forum in Tokyo Nordic Roasters Forum은 북유럽 로스터들과 커퍼가 함께 1년마다 모여 성과를 나누고...

작성자: GenrePainterD

등록일: 2017-11-02

디개싱(Degassing)에 대한 이해, 신선한 것이 최선인가? 26

일방향 아로마 밸브에 대한 도식, ⓒjet-ap.com 디개싱(Degassing)에 대한 이해, 신선한 것이 최선인가? 커피를 로스팅하는 로스터들에게 있어서 신선한 커피가 최선의 커피가 아니라는 것은 사실이다. 최근 국내 바리...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10-26

【Farm】 그린 팁, 브론즈 팁 게이샤 품종의 차이를 보여주... 2

Green tip, bronz tip Geisha plant Coffee Courses Boot Coffee 위 링크를 클릭하시면 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린 팁, 브론즈 팁 게이샤 품종의 차이를 보여주는 영상 지난 18일부터 21일간 킨텍스 카페&베이커...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