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컬럼 정보

【Roasting】 로스팅 전 핸드픽이 필요한 생두에 대한 고찰

2017-11-23  



로스팅 전 핸드픽이 필요한 생두에 대한 고찰



 
몇 년 전, 로스팅에 관련된 정보를 찾아보면서 지금 포스팅에 담을 내용을 접하게 되었고 이후 많은 정보와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내용의 큰 틀은 복잡하지 않다. 생두와 원두의 특정 부분을 깊이관찰하고 고민하는 것이다. 이를 시작하기 전에 '생두(Green Bean)'라는 주제를 관찰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식물'하면 떠올리게 되는 생장 과정이 커피 로스팅에서 매우 많은 착오를 일으키는 부분이다.



 
2.png

 

 
   
커피 나무는 보통 파치먼트 상태에서 발아를 시작한다. 아라비카종이 카네포라종 보다 수분 함수율이 조금 더 많은 상태가 일반적이고 껍질을 벗겨낸 상태거나 기온에 따라 발아되는 시간은 천차만별로 달라질 수 있다. (보통 일반적인 발아 시기는 25일에서 한 달로 잡고 있다) 위의 사진에서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생두의 한쪽 모서리 부분에서 싹이 트이기 시작한다. 사진으로 보면 싹이 나오는 방향이란 발아가 된 후 알 수 있을 것 같지만 실제로 그렇지 않다. 생두 상태일 때도 관찰할 수 있고 이는 로스팅이 진행되면서 쉽게 타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관한 더욱 많은 정보를 얻고 싶다면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길 바란다.



      
 
 
3.png배아 주머니에서 이탈된 배아
 
4.png
커피 천공충으로 인한 Insect Bean, 이물질과 외부 영향으로 생긴 스크래치 일종
 
5.png
생두 구멍으로 인해 쉽게 탄화된 원두의 모습



배아 이탈, 스크래치, 인섹트
등급이 좋은 생두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라면 보기 드물지 모르겠으나 커머셜 등급의 시장을 취급하고 있다면 부정적인 요소를 가진 생두들을 종종 접하게 될 수 있다. 필자는 생두 내부로 연결되는 공간이 생긴 디펙트를 매우 꺼리는 편이다. 로스팅 시에 같은 과정을 거쳐도 유독 쉽게 타버리기 때문이다. 이는 후에 여러 가지 부정적인 관능 평가로 연결될 수 있고 따라서 반드시 핸드픽을 거치고 있다. 배아가 제거되는 경우라 하면, 탈곡되는 과정과 습식 가공을 거칠 때 함께 제거되는 경우가 많으며 인섹트 빈과 구별할 수 있는 것은 구멍의 위치와 모양이라는 점이다. 천공충으로 인한 구멍은 비교적 동그랗고 배아가 이탈된 자리는 센터컷의 끝부분에서 쉽게 관찰될 수 있다. 이는 로스팅 과정에 더욱 많은 열의 침투가 일어나고 구멍 주위부터 쉽게 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6.png
배아의 반대편에 선천적인 크랙의 모습(Crack)

 
7.png 발아된 싹의 상층부에서 잎이 피게 되는 점이 선천적 크랙 라인의 존재가 아닐까 예상한다.
 
8_1.png
8_2.png
8_3.png
선천적으로 준비된 균열은 로스팅 진행에 따라 벌어지게 되고 이후 쉽게 탈 수 있다.



크랙(Crack)
필자도 지금까지 '크랙'이라고 말했던 물리적 현상을 하나의 고정된 개념으로 접근했다. 하지만 Crack이란 생두에서부터 존재했던 선천적인 균열을 의미할 수도 있다. 배아의 반대쪽에는 후에 잎이 돋아 나오는 약속된 균열 라인이 있고 이는 로스팅시 필연적으로 '크랙'을 발생시킨다. 흔히 크랙이 터진다고 말하는 우리의 표현은 어떤 관점에서 보면 오해의 여지가 있을 수 있다. 크랙은 선천적인 균열이 열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배아의 반대쪽에는 반드시 생두부터 존재하고 있는 균열 부분이 존재하고 이는 로스팅 진행으로 수축과 팽창이 진행되면서 발생된다.



 
9.png
12.png
13.png
11.png

 


메일라드 반응과 팝핑
로스팅에 대한 많은 지식 중에 메일라드(Maillard) 반응과 팝핑(Popping)이란 단어를 빼놓을 수 없다. 메일라드가 일어나는 가장 큰 이유는 아미노산과 환원당같은 성분이 열과 반응을 일으켜 생기는 갈변 현상이다. 이 과정이 사실 로스팅 과정에선 쉽게 육감으로 인식하지 못한다. 우리가 흔히 150도의 옐로우 포인트를 기점으로 캐러멜화와 메일라드 반응 등을 나누지만 이는 정확히 생두에 무슨 일이 발생되는 지 인지할 수 없다. 하지만 이런 반응들이 팝핑과 연관이 있는 게 아닐까란 생각을 하게 된 것은 위의 사진을 보고 난 후였다. 자세히 보면 생두 때는 볼 수 없는 수많은 기포 같은 것들이 표면에 보이기 시작한다. 이는 흔히 우리가 '1차 크랙'이라고 말했던 구간 전부터 그 이후까지 발생되다가 '중배전'이라고 부르는 구간부터는 쉽게 보이지 않게 되었다. 우리가 온갖 향미 성분과 맛을 느끼기 위해선 특정한 로스팅 과정이 필요하고 이는 팝핑이라는 가공 과정 그 어딘가에서 생기는 게 아닐까 예상한다. 그리고 그 반응은 생두의 잠재적인 성분을 내부에서 외부로 꺼내는 것이지, 없는 걸 생기게 하는 과정은 아니다. 위의 가장 마지막 사진은 생두의 가공 과정 중 '내추럴 계열' 원두의 센터컷이다. 또한 크랙 라인을 제외한 균열을 볼 수 있고 이는 Popping Reaction의 결과물로 인식할 수 있을 것 같다.
 

Cultured Consumers 기고글 보기
【About Cafe ⑴】 카페를 한다는 것
【About Cafe ⑵】 카페를 한다는 것, 그 두번째 이야기
Costa Rica Finca Pie-San'La lia' 그리고 D.T(Developed Time)의 개인적인 고찰
커피 로스팅에서의 T.P의 이해
약배전 커피와 덜 익은 커피에 대한 단상
에스프레소에서의 낮은 추출 온도
이지스터(Easyster), 덕트의 이해
바리스타에게 요구되는 기본 소양은 무엇일까
커피 블렌딩(BLENDING)에 관한 개인적인 고찰
카페 창업 가이드 ― 중저 예산으로 생각할 수 있는 에스프레소 머신들
추출에 대한 각기 다른 시선 ― 엔지니어, 바리스타, 로스터
카페에서 자격증이 필요 없는 이유
낮은 투입 온도에 대한 개인적인 소고
커핑(Cupping), 주관적인 가이드 라인
나의 Developed Time 다양성과 이해 방식
카페에서 정말 필요한 커피란
【도쿄 커피 에세이】 같지만 다른 방식으로
커핑을 통해 커피의 용도를 찾는 연습
지금까지 경험한 생두의 국가 성향에 따른 주관적인 로스팅 가이드
물에 어울리는 커피와 우유에 어울리는 커피에 대한 소고
브랜딩(Branding), 시각화하는 능력
맛있는 커피를 마시고 싶은가요?
그라인딩의 핵심 - 칼리브레이션(Calibration)
덕트가 포함된 로스터기를 통해 알아 보는 열의 구조
로스팅 전에 확인해야 하는 조건 ― 생두 크기
로스팅 Air Temp에 대한 개인적 소고
어떤 에스프레소 머신을 사야 할까?

로스팅 전에 확인해야 하는 조건 - 화력과 온도계의 이해
식품 제조 허가의 첫걸음 ― 건축물 용도 확인
식품 제조 허가의 첫 걸음(2) ― 지역 확인
우리의 커피가 쓰지 않기 위해 로스팅 전 해야 할 일에 대한 소고
 
배준호   Roaster
photo Email: cconsumers@naver.com
Website: http://blog.naver.com/cconsumers
 

 

등록된 자기소개가 없습니다. 자기소개 미등록시 블랙워터이슈의 핵심 기능의 사용이 제한됩니다.

댓글 1

profile

함딱이

2017-11-28 16:17  #332359

좋은글 감사합니다

다른글도 찾아서 보겠습니당 ~!!

【Roasting】 로스팅 전 핸드픽이 필요한 생두에 대한 고찰 1

로스팅 전 핸드픽이 필요한 생두에 대한 고찰 몇 년 전, 로스팅에 관련된 정보를 찾아보면서 지금 포스팅에 담을 내용을 접하게 되었고 이후 많은 정보와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내용의 큰 틀은 복잡하지 않다. 생두...

작성자: 외부기고컨텐츠

등록일: 2017-11-23

[연재칼럼] 정글에서 살아남기 제1화, 진짜를 구분하는 법 4

정글에서 살아남기 제1화 진짜를 구분하는법 : 관찰하기 생존이 걸린 일에 아무런 준비도 없이 무작정 시작하는 사람이 있을까요? 내가 어느날 갑자기 무인도에 떨어졌다면 무작정 먹을 것을 찾아서 밀림 속으로 들어...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11-23

【Roasting】 우리의 커피가 쓰지 않기 위해 로스팅 전 해...

우리의 커피가 쓰지 않기 위해 로스팅 전 해야 할 일에 대한 소고 로스팅 후 맛본 커피에서 느껴진 강한 쓴맛, 입 천장에 먼지가 붙어있는 거 같은 껄끄러움. 혹은 텁텀함. 단순히 로스팅에서만 문제점을 찾는 것은 ...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11-21

【카페 창업】 식품 제조 허가의 첫 걸음(2) ― 지역 확인 1

식품 제조 허가의 첫 걸음(2) ― 지역 확인 사용된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을 알려 드립니다. 지난 기사에 이어서 부동산을 기반으로 쌓인 정보가 많아졌다. 현실적인 대처와 판단은 결국 자신의 몫이라 생각했기에...

작성자: 외부기고컨텐츠

등록일: 2017-11-15

정글에서 살아남기 프롤로그 by 알레그리아 커피 유기용 대표 3

정글에서 살아남기 알레그리아 커피 비즈니스 컬럼 프롤로그 많은 사람들이 ‘삶’을 ‘정글’에 비유합니다. 언제부터인지 저도 ‘인생은 정글’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맹수들을 비롯한 각종 위험이 ...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11-15

【카페 창업】 식품 제조 허가의 첫걸음 ― 건축물 용도 확인 1

식품 제조 허가의 첫걸음 ― 건축물 용도 확인 카페를 시작하는 어려움 가운데 하나는 원두 납품을 위한 식품제조허가를 위한 준비이다. 이 과정을 조금은 간접적으로나마 공유를 하고 싶어 포스팅으로 옮긴다. 연재물...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11-14

Roast의 코니 블룸하트와의 인터뷰 에필로그

Roast의 코니 블룸하트와의 인터뷰 에필로그 코니 블룸하트와 인터뷰를 가지며 나눴던 업계 주변 현상에 대한 대화 내용을 정리해 봤다. 오랜 시간 커피 전문 매체인 Roast의 편집장으로서 쌓아온 경험을 토대로 친절...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11-07

Book of Roast의 발행인, 코니 블룸하트와의 인터뷰 3

l 사진제공 : 로스트매거진 코리아 Book of Roast의 발행인, 코니 블룸하트와의 인터뷰 with Roast Magazine Korea 지난 주 방한한 로스트매거진의 편집장 코니 블룸하트와 함께 Book of Roast 한글 번역본 출간에 대...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11-06

53(54)mm vs 58mm 포터필터, 바스켓 사이즈의 차이와 논의 6

53(54)mm vs 58mm 포터필터, 바스켓 사이즈의 차이와 논의 현재는 대부분 58mm 의 포터필터 사이즈가 표준화에 가깝게 통일이 되었지만, 아직도 53~54mm 사이즈의 포터필터 바스켓 규격으로 에스프레소 머신을 생산하...

작성자: 서리

등록일: 2017-11-06

하리오 제공, 테츠 카츠야의 "46 추출법" 영상 ...

하리오 제공, 테츠 카츠야의 "46 추출법" 영상 레시피 브루어스 컵 챔피언 일본의 테츠 카츠야의 46 추출법 영상이 하리오 공식 유튜브 계정에 게재되었습니다. 관련 추출 방법은 블랙워터이슈의 블랙워터 크런치에서...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17-11-03

【Tokyo】 Nordic Roasters Forum in TOKYO 노르딕 로스터... 1

Nordic Roasters Forum in TOKYO 노르딕 로스터스 포럼의 경쟁 커피, 도쿄에서 커핑 이벤트로 ! Nordic Roasters Forum in Tokyo Nordic Roasters Forum은 북유럽 로스터들과 커퍼가 함께 1년마다 모여 성과를 나누고...

작성자: GenrePainterD

등록일: 2017-11-02

디개싱(Degassing)에 대한 이해, 신선한 것이 최선인가? 26

일방향 아로마 밸브에 대한 도식, ⓒjet-ap.com 디개싱(Degassing)에 대한 이해, 신선한 것이 최선인가? 커피를 로스팅하는 로스터들에게 있어서 신선한 커피가 최선의 커피가 아니라는 것은 사실이다. 최근 국내 바리...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10-26

【Farm】 그린 팁, 브론즈 팁 게이샤 품종의 차이를 보여주... 2

Green tip, bronz tip Geisha plant Coffee Courses Boot Coffee 위 링크를 클릭하시면 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린 팁, 브론즈 팁 게이샤 품종의 차이를 보여주는 영상 지난 18일부터 21일간 킨텍스 카페&베이커...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10-25

【Day 1 of 30】 1. 좋은 에스프레소 그라인더란? 1

1. 좋은 에스프레소 그라인더란? by Pete Licata(2013 WBC Champion) 2013년 월드 바리스타 챔피언인 피트 리카타의 개인 블로그에 시리즈로 연재되고 있는 포스트의 내용을 블랙워터이슈에서는 발전적인 방향으로 연...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10-12

【Roasting】 Flick 현상과 Crash 현상을 피하는 방법 1

Flick 현상과 Crash 현상을 피하는 방법 블랙워터이슈의 지난 3월 26일자 기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뤘다. 아래의 링크 참조할 수 있다. 아래의 기사에서 2014년 월드 커피 로스팅 챔피언십 준우승을 했던 시...

작성자: BW최고관리자

등록일: 2017-10-11